마산로봇랜드 1년 넘도로 첫삽도 못떴다… 2015년 개장 사실상 불가능
경남 통합 창원시를 상징하며 추진 중인 마산로봇랜드 조성사업이 1년이 지나도록 착공조차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로봇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과 국도 5호선 연장 조기개설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4일 창원시에 따르면 그동안 경남도, 창원시, 경남로봇산업진흥재단은 사업추진을 위해 민간사업자인 울트라건설㈜ 컨소시엄과 수차례 협의했다. 그러나 컨소시엄 측은 계약에 임할 것을 약속해놓고 대출약정서 제출과 무관한 문제점들을 거론하며 지금까지 계약을 지연시키고 있다. 나아가 컨소시엄 측은 공사가 중도 해지될 경우 이행보증금과 운영권을 경남도 등에 귀속한다는 협약서상의 이른바 ‘몰수조항’을 개선하라며 맞서고 있다.
창원시와 시민단체들은 공동사업자인 경남도와 울트라건설 컨소시엄에 대해 즉각적인 해명과 결단을 내리라며 사업추진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도가 사업예산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이고, 전체 공사를 맡게 될 컨소시엄 역시 대출약정 금액 가운데 절반 수준만 확보한 상태여서 2015년 개장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공식을 가진 마산로봇랜드의 총 사업예산은 7000억원으로 공공부문 예산 2700억원을 비롯한 국비와 창원시 분담금은 확보된 상태다. 하지만 경남도의 분담금은 1000억원 중 140억원만 확보됐다.
창원시는 로봇랜드 조성 공동사업자로서 시가 부담할 사업비 1100억원 중 455억원의 예산을 투입했고, 로봇랜드 조성에 편입되는 토지와 지장물 등 1600건 중 1423건(89%)에 대한 보상을 완료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 투입해야 할 400여억원이 하반기 추경예산에 반영조차 되지 못하고 있어 경남도의 의지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컨소시엄 측의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만큼 경남도는 민간사업자 지정을 취소하고, 재공모를 통한 신규사업자 모집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남 마산로봇랜드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일원 125만9890㎡ 부지에 조성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이 곳에는 테마파크, 로봇전시관, 컨벤션센터, R&D센터, 숙박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