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도시철도사업 곳곳서 ‘덜커덩’
시민들의 편의와 도심 교통난을 덜기 위한 도시철도 건설사업이 곳곳에서 덜컹거리고 있다. 재정난으로 완공시기를 늦추는가 하면 지상화 여부와 차종 선정을 놓고 혼선을 빚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난을 부채질하는 ‘애물단지’가 되기 일쑤여서 시민단체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19일 지방자치단체들에 따르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지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고 있다. 범물동 등지의 아파트단지 주민들은 시가 건설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이기 위해 전 구간을 지상화하기로 하자 “고가철도 주변 조망권 침해는 물론 소음·분진 피해가 엄청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지상화전철 결사반대’ 등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동호동∼범물동을 잇는 23.9㎞ 구간으로 2014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광주광역시는 시민단체들이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반대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광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참여자치21은 최근 “시민 부담 증가가 뻔한 총 연장 47.1㎞의 2호선 사업추진을 반대한다”는 공동 성명서를 냈다. 이들 단체는 시가 1호선 건설 때도 예측 통행량을 부풀리는 등 잘못된 교통수요 예측과 타당성 조사로 7000억원의 건설비용 부채와 연간 500억원의 운영 적자를 떠안게 됐다고 지적했다. 실제 시는 1992년 1호선 타당성 조사 때 예상인구를 2001년 180만명, 2011년 230만명으로 추산했으나 2012년 현재 시 인구는 145만명에 불과하다.
이 밖에 대전은 2호선 차종을 자기부상열차에서 모노레일로 변경했다가 다시 자기부상열차로 바꾸는 등 우왕좌왕하고 있다.
인천시의 경우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에 맞춰 완공하려던 도시철도 2호선 완공시점을 2016년으로 2년 연기했다. 29.3㎞인 2호선은 총 공사비 2조1644억원으로 5월 말 현재 1조1250억원이 투입돼 5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나 재정난으로 불가피하게 공사일정을 변경했다. 이로 인해 감리비와 현장관리비 등 400억원의 비용이 추가될 전망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