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못 따라가는 어업 규제] 바다 생태계 요동치는데… ‘탁상 금어기’ 요지부동
지구 온난화에 의한 생태계 교란은 육지보다 바닷속에서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해도 한반도 근해 수온이 15도 이상인 시기는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간이었으나 최근에는 8∼9개월로 연장되고 있다. 수온뿐 아니라 해수면 상승으로 염분 농도가 변하면서 이에 민감한 물고기들이 서식지를 옮겨 다니고 있다. 남해안에서 주로 잡히던 멸치떼가 갑자기 서해안에 나타나는가 하면 서민들의 식탁에 자주 올랐던 정어리와 명태는 아예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금어기 설정 등 정부 규제는 급격한 해양환경 변화를 반영하지 못해 어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다.
◇바다 생태계는 급속도로 변화=4일 국립수산과학원과 군산해경 등에 따르면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바다 생태계 교란으로 어족 자원이 크게 바뀌고 있다. 1950년대부터 8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체 어획량의 20% 안팎을 차지했던 명태는 1990년대 들어 급격히 감소한 뒤 2000년부터는 아예 씨가 마른 상태다. 한때 총 어획량의 70%를 차지했던 정어리는 최근 들어 근근이 명맥만 유지할 뿐이다.
어류뿐 아니라 굴 새꼬막 홍합 등 패류도 기후변화로 인해 생산 시기가 뒤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굴 양식을 위해 6월 중·하순 굴의 유생을 붙일 재료를 바다에 설치했으나 최근에는 수온 상승으로 채묘 시기가 보름 이상 앞당겨졌다.
새꼬막의 종패 살포 시기도 기존 4∼5월에서 현재는 3∼4월로 한 달 이상 빨라졌다. 반면 홍합의 경우 주로 10월 중·하순에 실시되던 채묘가 수온 하강이 늦어지면서 11월 중·하순으로 한 달 이상 밀렸다.
폐사율이 증가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는 지난해 인천·경기도 지역 6곳과 충남 지역 27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상이변으로 인해 서해안 바지락 폐사율이 8.6%로 전년도의 6.0%보다 크게 증가했다. 특히 인천과 경기도 일대의 폐사율은 18.1∼22.8%로 전년 대비 배 이상 늘었다. 갯벌연구소는 월교차가 30도 이상으로 벌어진 데다 만 형태로 이뤄진 충남 지역보다 인천·경기 지역은 지형적으로 북서계절풍에 많이 노출돼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구태의연한 규제로 어민들 간 갈등도 커져=바닷속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정부의 어업 규제는 10년 전과 별반 달라진 게 없어 피해를 호소하는 어민들이 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일률적으로 금어구역을 지정, 황금어장을 눈앞에 두고도 조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경남 창원시 용원동 동남쪽 돌출부와 거제시 능포동 양지암 돌출부 끝을 연결한 선과 통영시 장령리 견유마을 동쪽 끝 및 거제시 덕호리 견내량마을 선착장을 연결한 선 안의 해역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멸치 어업을 연중 제한, 어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자체 간 서로 다른 금어기로 어민들 사이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인구 300여명의 작은 섬 연도는 행정구역상 전북이지만 위도상 충남 서천과 같은 위치에 있어 잦은 분쟁이 일고 있다. 올 여름 부안 앞바다에서는 전남 여수와 완도 쪽에서 올라온 30여척의 어선이 이 일대 어민들과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어민들은 상대방의 어망을 몰래 끊거나 어업을 방해하는 등의 다툼을 계속하고 있다. 군산해경에 따르면 어민 간 조업 관련 고소·고발이 해마다 40∼50건씩 들어오고 있다.
황일송 기자 군산=김용권 기자 ils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