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유증상 접촉자 위주로 실시하도록 방역 대응을 전환할 방침이다. 무증상자는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를 활용토록 해 전반적으로 진단 검사 속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먹는 치료제’도 다음 주 중 국내에 처음 도입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른 오미크론을 감당하려면 지금의 방역체계 전반을 속도 측면에서 전면 혁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미크론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를 대비해 진단 검사에 우선순위를 정해 유증상 접촉자 중심으로 빠르게 진단하겠다는 것이다. 오미크론 변이는 현재 우세종인 델타 변이에 비해 전파력이 2~3배 높다. 올 2월에는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진단 정확성이 높은 PCR 검사를 기본으로 하되 자가검사키트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새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무증상·경증의 경우 우선 자가검사키트로 검사하고 여기에서 양성으로 판정되면 이후 PCR 검사를 추가 진행해 확진 여부를 확인하게 될 전망이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자가검사키트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다고 바이러스를 아예 검출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면서 “PCR 검사 역량을 무한정으로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또 “코로나 먹는 치료제가 다음 주 들어온다”면서 “의료현장에서 신속히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현재 화이자 76만2000명분, 머크앤컴퍼니 24만2000명분 등 총 100만4000명분의 치료제를 확보한 상태다. 이 가운데 일부가 다음 주 도입되는 것이다. 구체적 활용 방안은 다음 주에 발표되며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고령층 위중증 환자에게 우선 처방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신규 확진자 수는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7일 0시 기준으로 전날 대비 신규 확진자는 3717명 늘어 전날보다 408명 감소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달 31일(4874명)에 비해 1157명 감소한 수치다.
내국인 확진자는 줄고 있지만 주한미군에서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 사이 확진자가 682명 급증했다. 역대 최대 규모인 직전 주 확진자 기록(467명)을 또 경신한 것이다. 하지만 주한미군은 감염이 발생한 기지명을 공개하지 않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미군 기지 인근 주민들이나 미군이 출입하는 영업장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라”로 지시했다.
한편 국내에서 임신부가 코로나에 감염됐다가 출산 후 사망한 첫 사례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임신부가 지난달 28일 출산한 뒤 증상이 악화해 지난 4일 사망했다. 이 여성은 기저질환을 보유하고 있었고, 백신은 접종하지 않은 상태였다. 신생아는 코로나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