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귀농 역대 최고…농식품부, ‘고급 정보’ 접할 창구 강화 추진

Է:2019-06-27 19:35
:2019-06-28 15:28
ϱ
ũ

일자리가 부족한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 만 40세 미만 청년층의 귀농이 2.3% 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찍었다. 영농정착지원금을 비롯한 청년농부 육성책이 청년층 유입에 마중물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정부의 정책 덕분에 청년층 귀농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귀농 가능성이 높은 농산업 분야를 전공한 이들의 취업·창업률이 낮다. 취업·창업률이 30% 수준에 그친 이유로는 ‘정보 부족’이 꼽힌다. 감자 재배로 연매출 75억원을 달성한 농산업 스타트업 같은 사례를 늘리려면 정보 전달체계와 방식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 수는 1만1961가구로 전년(1만2630가구) 대비 669가구 줄었다. 2017년 귀촌·귀농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기저 효과가 나타났다. 귀농 실패 사례가 속출하면서 귀촌·귀농을 보다 신중하게 준비하는 경향도 영향을 미쳤다.

전체로는 귀농 가구가 소폭 감소했지만 청년층에선 양상이 달랐다. 지난해 귀농한 만 40세 미만 청년 가구는 전년(1325가구)보다 2.3% 늘어난 1356가구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를 뽑기 시작한 2013년 이후로 가장 큰 규모다. 청년층의 농촌 유입에 집중한 정책 효과가 힘을 쓰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대표적 정책으로는 지난해 처음 지급한 ‘영농정착지원금’이 꼽힌다. 귀농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월 100만원(2년차 90만원, 3년차 80만원)씩 최대 3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귀농 초기에 가장 큰 어려움인 소득 감소를 해결하는 데 주효했다.

다만 풍부한 귀농 지원정책과는 별개로 고급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방자치단체의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등을 통한 안내·교육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다. 다만 청년층이 원하는 성공 사례를 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통계청이 지난해 농업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4.5%는 취업·창업 정보 제공이 부족하다고 지목하기도 했다.

일부에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청년두드림센터’를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청년두드림센터는 3000건 이상의 구인·구직 정보와 농산업 창업 정보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성공한 농산업 스타트업 사례다. 꼬마감자 특허 기술로 연매출 65억원을 달성한 스타트업 ‘록야’의 유통 노하우도 이곳에서 살펴 볼 수 있다. 곤충전문 컨설턴트나 농촌교육농장 플래너와 같은 새로운 직업군 정보 역시 일반적으로 접하기 힘든 ‘고급’ 정보로 분류된다.

농산업 전공자뿐만 아니라 귀농을 준비하는 이들에게도 청년두드림센터의 정보 전달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창업 중심 실무교육 등 귀농·귀촌을 원하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