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대했던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제2 창원국가산단)에서 고배를 마신 경남도가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지역 경제 재도약을 노린다.
도는 국토교통부 주관해 25일 발표한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공모에서 전국 15개 사업 중 4개 사업이 선정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 도심생활 복합단지로 산업단지 3곳, 도시개발사업 1곳이 선정되며 벌써부터 잰걸음에 나섰다.
앞으로 경남 개발제한구역 내 1092만㎡(330만평)을 개발할 수 있게 됐고 물류․방위산업 R&D센터․산업단지 등 경남 주력사업의 새 동력을 확보할 기반을 마련했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진해∙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 항만 증설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에 대비한 물류 거점화 사업으로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존 방식의 해양 매립이 아닌 육상 개발 방식으로 신속한 사업 추진과 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 배후단지는 기존 규모의 2.7배, 점유율은 기존 면적 404만㎡에 698만㎡가 추가돼 94.5% 증가할 전망이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국립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조선해양기술연구원 등이 협력해 창원대 내에 국책연구원을 설치하고, 지역 핵심 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담당한다.
산학연 협력으로 지역 전략산업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특히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심형 첨단산업 좋은 일자리’를 늘려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산 소재‧부품 연구개발, 기업 지원, 인력 양성 플랫폼도 조성해 지역 방위산업을 선도하는 R&D센터도 구축할 계획이다.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의 김해 지역은 부산, 울산시와 가깝고 철도와 고속도로 등 우수한 교통인프라를 갖춰 기업 입주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부족한 개발가용지가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이번 선정으로 입지적 강점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수소, 로봇, 전력반도체 산업을 육성할 수 있게 됐고 영세 제조업 중심에서 탈피해 제조업 구조 고도화 및 신성장 산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경남 지역 외국인력 유입 증가와 초고령화 대응을 위해 마산역 주변 노후화된 주거 및 상업, 공공시설을 재정비하고 복합 개발할 방침이다.
외국인 지원 플랫폼, 교육센터, 주거시설(공공임대주택) 등을 집적화해 경남 지역 외국인 지원의 구심점을 만들고, 마산역 미래형 환승센터 개발과 연계해 주거와 상업, 업무시설이 복합된 배후단지를 조성한다.
도는 이번에 재심의가 결정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에 대해서는 재심의가 미선정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사업 계획 보완 후 선정될 가능성을 두고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을 통해 대규모 개발가용지를 확보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 희망의 경남을 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