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월 전남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서 지난해 9월 국토부 기본계획 고시 이후 사그라들었던 제주 제2공항 반대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여객기 추락 원인으로 조류 충돌이 지목되면서 그간 반대 단체에서 주장해 온 제2공항 부지의 조류 충돌 위험성에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앞으로 제주도가 국토부가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조류 충돌’ 문제가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제2공항저지도민회의는 4일 민주노총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제주 제2공항 전면 재검토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조류 충돌 위험성을 집중 언급했다.
도민회의는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환경연구원이 국토부가 제출한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대해 ‘제2공항에서 연간 피해를 주는 조류 충돌수가 현제주공항에 비해 최대 8.3배 높다’는 의견을 냈지만, 국토부는 이 같은 의견을 무시하고 강행했다”며 국토부의 안전 불감증을 거론했다.
이들은 “국토부가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2공항 주변 조류유인시설을 조사하면서 양식장이나 음식점을 제외했다”며 “그러나 국토부가 제외한 해당 시설들은 국제항공민간기구가 조류유인시설로 규정한 것들”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새들은 육상 양식장 폐수에서 나오는 어린 어류나 사료 찌꺼기를 먹기 위해 배출구 주위에 몰려드는데 제2공항 주변 반경 8㎞ 이내에 하도·종달·오조·신산·신천 등 철새도래지 벨트가 형성되어 있다”며 “그럼에도 국토부는 전략환경영향평가에 제2공항 반경 13㎞ 이내에 있는 육상 양식장 78곳을 양식장이 아닌 어업시설로 기술했다”고 주장했다.
도민회의는 “제2공항 부지는 철새들의 국제공항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틈 조류 충돌 위험성이 높은 지역이다. 앞서 무안공항 참사도 안전 불감증과 비전문성 때문에 일어났다”며 제2공항 계획 재검토를 촉구했다. 또 제주도에 대해서는 “해소되지 않은 쟁점에 대해 사전 검증에 나서라”로 요구했다.


제2공항저지도민회의는 전날 국회 소통관에서 진보당 정혜경 국회의원과 기자회견을 열고, 전략환경영향평가 조사 부실 문제를 거듭 주장했다.
이날 이들은 “환경부가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진상규명에 나서야 한다”면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진정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전달하고, 2주 이내에 답변을 달라고 요청했다.
국토부는 2015년 11월 서귀포시 성산읍을 제2공항 건설 부지로 발표하고, 이후 9년 만인 지난해 9월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이어 다음 달부터 제2공항 건설공사를 위한 기본 설계에 착수한다. 수행 기간은 18개월이다.
이와함께 국토부는 지난달부터 환경영향평가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기간은 24개월로, 사계절 환경영향조사는 12개월간 이뤄진다.
환경영향평가는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도와 협의해야 하며, 협의 내용에 대해 제주도의회의 동의 절차도 거쳐야 한다.
제2공항 건설사업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551만㎡ 부지에 3200m 길이 활주로 1본과 평행유도로 2본, 비행기 28대가 주기할 수 있는 계류장(31만1000㎡), 11만8000㎡의 여객터미널 등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5조 4500억원으로 예상한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