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는 국토교통부의 내년 신규 수소도시 조성 사업 대상에 서산시가 울산, 경북 울진과 함께 지정됐다고 4일 밝혔다.
수소도시는 수소를 주택, 업무시설, 교통, 산업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과 이송·저장, 활용 기반 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전국적으로 2020년 3곳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5개 지자체에서 수소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도내 수소도시는 보령과 당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도는 내년부터 4년간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와 부석면 갈마리 일원에 300억원을 투입해 수소도시를 조성할 예정이다. 대산단지 부생수소를 활용해 생산한 난방과 온수를 공공임대주택 등 주거시설과 대산읍 커뮤니티센터, 복지관, 행정복지센터 등 공공시설에 공급한다.
수소버스와 수소노면청소차 보급을 확대하고, 모듈형 도심항공교통(UAM) 수소충전 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태양광 연계 그린수소 생산과 스마트팜 연계 에너지 공급 등 지역 혁신 및 특화산업 발전 사업도 추진한다.
서산시는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단지가 위치해 부생수소를 공급·활용하는 데 유리해 수소도시로 지정됐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또 지난해 수소산업 전주기 산업 육성·지원, 수소산업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확보, 지역 산업 연계 신산업 발굴 추진 등 수소도시 지정을 받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서산 수소도시 조성 사업에는 롯테케미칼과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등 국내 대기업도 참여한다.
안호 도 산업경제실장은 “이번 수소도시 지정은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하고 UAM 충전 인프라와 스마트팜 연료전지 등 탄소중립경제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 수소도시 조성 사업에 롯데케미칼과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도 참여해 성공적인 추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 보령·당진 수소도시 조성 사업은 2026년까지 4년간 4890억원을 투입해 실시한다. 두 지역은 연내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6년 실증·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