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가축 분뇨 냄새 때문에 못살겠다며 민원이 계속되고 있는 전주·완주 혁신도시에서 ‘악취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나섰다.
전북자치도는 전주‧완주 혁신도시 악취저감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 보다 강력한 축산업 규제에 나서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TF팀에는 최병관 전북자치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관계 부서장과 김제시 부시장 등으로 구성됐다. 이 팀은 앞으로 악취 민원 근원지로 꼽히는 혁신도시 인근 김제시 용지면 축산단지 일대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긴밀히 논의했다. 이는 올해 3년차로 접어든 지자체와 축산업계간 합의 폐업이 지지부진한데 따른 일종의 극약 처방이다.
지정 대상은 올 연말 악취배출원 정밀 실태조사 결과가 나오면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고대로 악취관리지역 지정시 해당 시설들은 악취배출 허용기준이 대폭 강화된다. 당장 사업주들은 6개월 안에 그 악취방지계획 수립, 1년 안에 악취방지시설 설치 등 후속조치와 함께 법정 기준치 이하로 악취를 관리해야만 한다.
현재 용지면에는 중대규모 가축농장과 가축분뇨 재활용업체 등 주요 축산시설만 90여곳이 들어서 있다.
혁신도시 기관들은 입주 초기부터 각종 가축 분뇨 냄새에 큰 고통을 겪어 왔다. 도는 악취 해소를 위해 용지 현업축사 매입, 축산환경 개선, 악취저감제 보급, 악취 모니터단 운영과 같은 사업을 추진해 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는 2022년 소와 돼지를 키우는 주요 농장 53곳(총 6만3000마리)을 대상으로 현업축사 매입 철거사업을 시작했지만 현재 매매가 성사된 농장은 17곳에 그쳤다. 더불어 악취를 문제 삼은 집단 민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추가로 악취관리지역을 지정하고 현업 축사 매입 철거사업을 병행한다면 익산 왕궁 사례처럼 김제 용지 축산단지도 전면 철거는 물론 축산업의 경우 신규 진입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도는 기대했다.
최 부지사는 “혁신도시 주민들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도가 직접 나서게 됐다”며 “관련 부서, 김제시 등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도시 악취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고 주민 불편이 없도록 적극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