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는 공공요금 빅데이터 활용 위기가구 발굴 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위기가구 1만790세대를 발굴·지원했다고 4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이 2개월 이상 연체된 가구의 정보를 제공받은 뒤 실태조사를 벌여 지원이 필요한 위기가구들을 찾아냈다. 이 시스템은 일상생활 속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기, 가스, 수도요금 연체정보 등 빅데이터를 활용해 대상을 선별하고 실제 조사를 거쳐 위기가구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는 이 사업을 위해 지난 2022년 10월 한국전력 대구본부, 대성에너지, 대구상수도사업본부와 ‘위기정보 빅데이터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같은 해 11월부터 2개월 이상 공공요금을 연체한 가구 정보를 매달 제공받아 위기가구 발굴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33만6553건의 연체가구 정보를 확보해 2가지 이상의 공공요금 연체가 확인된 1만2507건을 추출했고 읍·면·동 조사를 통해 1만790세대 위기가구를 발굴했다. 위기가구에는 기초생활보장(381건), 긴급복지(251건), 공공서비스(398건), 민간서비스(1514건), 상담·정보제공 (8246건) 등을 지원했다.
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기가구 발굴 시스템이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달부터는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의 공공요금 연체가구 정보를 추가로 확보해 위기가구 발굴 사업을 확대한다.
정의관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어려운 이웃을 더 빨리 찾아낼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며 “생계가 어려운 시민은 행정복지센터나 보건복지상담센터로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