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서해 피격 공무원’ 사건과 관련해 ‘청와대에 의한 왜곡’을 주장하는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에게 “정보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부 전 대변인은 24일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하 의원이 정보에 대해서 공부하면 발언에도 좀 유의하지 않을까 한다. 정보를 모르는 무지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고 있다. 하 의원은 지난 23일 국방부에 방문해 군의 특별 취급(SI) 정보를 열람하고 “7시간의 대화 내용 가운데 ‘월북’ 딱 한 단어가 나오고 그 다음에는 나오지 않는다”며 “(청와대가) 무리한 결론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부 전 대변인은 “월북 단어만 보고 정황을 파악하지 않는다. 영상 정보, 신호 정보, SI 정보, 신문, 공개 첩보 같은 다양한 첩보들이 하나로 종합이 됐다. 그것을 월북 가능성으로 판단을 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국방부는 그동안의 축적된 정보, 수집된 정보를 통해 분석하기 때문에 절차상 문제는 없다”며 “은어 같은 것들은 일반인들이 봐서 이게 ‘월북이다’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진행자가 ‘국방부가 월북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했다가 자진 월북으로 보고했다. 청와대가 월북으로 둔갑시킨 거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고 묻자 부 전 대변인은 “당시에 나온 게 아무것도 없었다. 그런데 첩보들을 분석하는 작업 속에서 (월북이) 확인됐다”며 “24일에 확 바꿨다는 건 억지”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부 전 대변인은 “국민의힘 의원들은 국방부 보고를 받고 당시에는 인정했었다”며 신원식·한기호 의원을 언급했다.
부 전 대변인은 ‘대통령 기록물을 공개하라는 요구도 있다’는 질문에는 “대통령 기록물을 통해서 확인될 건 없다”며 “대통령 기록물도 마찬가지로 여야가 유리한 문구를 찾아내서 불필요한 소모전만 양산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민철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