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산업현장에서 질식사고를 당한 근로자는 348명으로,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65명(47.4%)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발생한 질식사고 196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체 재해자 중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일컫는 치명률을 보면 질식사고가 47.4%로, 전체 사고성 재해 평균(1.1%)의 44배에 달했다. 감전(6.4%)과 추락(2.5%)의 치명률도 높은 축에 속하지만, 질식사고보다는 훨씬 낮다.
사고 빈도, 사망자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질식사고 위험이 높은 작업은 오·폐수, 정화조, 축산분뇨 처리 작업(총 49명 사망)이었다.
그 외 불활성가스 취급 설비 작업(23명 사망), 갈탄 등을 사용하는 콘크리트 양생 작업(14명 사망),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는 배관·탱크 용접 작업(13명 사망), 각종 관거·맨홀·집수정·탱크 내부 작업(15명 사망) 등도 위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에 발생한 질식사고가 63건으로 가장 많았다. 여름(49건), 겨울(44건), 가을(40건)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8월에는 충남 당진에 있는 한 부두 선박에서 근로자들이 이산화탄소 용기 호스를 교체하는 작업 중 이산화탄소가 누출돼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치기도 했다.
김철희 고용부 산업안전보건정책관은 “특히 날씨가 더워지면 질식 위험성이 커진다”며 “작업 전 반드시 산소 농도,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