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가 산업통상자원부 공모로 진행된 ‘취약지역 공정 전환 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돼 지역 제조업의 저탄소 산업 전환에 탄력을 받게 됐다.
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탄소중립 이행 과정에서 피해가 우려되는 온실가스 다 배출 지역과 기업을 지원하고자 추진된다.
지역 주력 산업의 탄소 배출 구조와 특성을 진단하고, 맞춤형 지원 방안 마련해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내용으로 한다.
경북도는 지역의 제조업 현황과 업종별 특성 등을 고려해 구미를 시범실시 지역으로 해 최근 공모에 신청했다.
경북의 제조업은 생산, 수출, 고용 등 모든 경제지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탄소 집약형 산업 구조에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아 탄소중립에 따른 각종 규제 때 산업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우려가 큰 상황이다.
게다가 지역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응 계획도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북도는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수준 진단과 생산 공정 개선 방안 도출, 특허분석 및 기술 이전, 저탄소 제품 인증 획득 지원 등으로 탄소중립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저탄소 공정 전환이 시급한 중소기업의 탄소감축 설비 투자를 지원해 저탄소 공정 전환 선도 사례를 확산할 계획이다.
탄소 다 배출 산업의 근로자 대상 탄소중립 역량 강화 훈련과 타 업종 재취업 교육을 지원해 근로자의 탄소중립 역량 강화도 지원하는 등 매년 연간 7억20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제조업의 원료 전환, 에너지 효율화, 혁신공정 등의 저탄소화 전략을 마련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장상길 경북도 과학산업국장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우리 지역에 탄소중립은 어려운 과제”라며 “도내 중소기업의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과 탄소중립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