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겨울(2021년 12월~2022년 2월) 한강에는 얼음이 얼지 않았던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한강 결빙 관측이 시작된 1906년 이래 한강이 얼지 않은 건 9번째다.
기상청은 15일 “한강대교 아래 관측 지점에서 한강 일부가 결빙되긴 했지만 관측 장소 전체가 결빙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결빙 관측 지점인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상류 100m 부근의 띠 모양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을 때 ‘한강이 얼었다’고 공식적으로 판단한다.
기상청이 최근 7년간 한강 결빙이 관측됐을 당시 서울의 기온을 분석한 결과 결빙 5일 전부터 당일까지 일 최저기온은 영하 10도 이하인 날이 4~5일 지속됐다. 기상청은 이번 겨울 한강이 결빙되지 않은 배경에 대해 “지난해 서울의 겨울철은 일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인 날이 4일 이상 지속된 날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기온 이외의 기상 조건도 결빙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박정민 기상청 사무관은 “기온뿐 아니라 풍속과 유속이 약하고 유량이 적을수록 결빙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이번 겨울에는 기상 조건들이 종합적으로 결빙 기준에 못 미쳤다”고 말했다.
한편 기상청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강 첫 결빙일도 점차 늦춰지는 추세라고 봤다. 최근 30년(1991~2020년) 평균 첫 결빙일은 1월 10일로 1906~1930년 평균보다 22일, 1931~1960년 평균보다 16일, 1961~1990년 평균보다 1일 늦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