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다자 가상대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잇따라 나왔다. 윤 후보는 이날 공개된 여론조사 6건 중 5건에서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했다. 1건은 오차범위 내 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윤석열, 리얼미터 등서 오차범위 밖 우세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13∼18일 전국 만 18세 이상 30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후보는 42.9%, 이 후보는 38.7%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윤 후보는 1주일 전보다 1.3% 포인트 상승했고 이 후보는 0.4% 포인트 하락했다. 두 후보의 격차는 2.5% 포인트에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1.8% 포인트) 밖인 4.2% 포인트로 벌어졌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0.6% 포인트 오른 8.3%,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0.4% 포인트 상승한 3.2%로 각각 집계됐다.당선 가능성을 묻는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전주보다 0.6% 포인트 상승한 49.4%, 이 후보는 1.3% 포인트 하락한 41.3%를 기록했다. 두 후보의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8.1% 포인트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2.0% 포인트 오른 38.8%, 민주당이 1.1% 포인트 하락한 37.1%로 집계됐다. 국민의당은 0.8% 포인트 오른 7.5%, 정의당은 0.3% 포인트 오른 3.6%를 각각 기록했다. 이 조사는 임의걸기(RDD)로 무선(95%)·유선(5%) 표본을 추출해 전화면접(30%)과 자동응답(70%) 방식으로 시행됐다. 응답률은 10.3%다.
칸타코리아가 서울경제 의뢰로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 41.3%, 이 후보 32.2%로 나타났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9.1% 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칸타코리아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였다.
열흘 전 조사와 비교하면 윤 후보는 0.1% 포인트, 이 후보는 0.9% 포인트 상승했다. 안 후보는 6.9%, 심 후보는 3.3%였다. 지지 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14.8%였다. 당선 가능성을 묻는 말에는 윤 후보가 49.1%, 이 후보가 33.9%로 나타났다.
이번 대선에서 원하는 결과에 대한 질문에는 ‘야당으로 정권교체’가 53.3%, ‘여당의 정권재창출’이 34.8%로 조사됐다. 1·2차 TV토론이 후보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매우’ 16.2%·‘어느 정도’ 30.4%로, 46.6%가 영향을 받았다고 답변했다. 무선(89.9%)·유선(10.1%) RDD(임의걸기)를 활용한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2.7%다.
서던포스트가 CBS 의뢰로 지난 18∼19일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40.2%, 이 후보가 31.4%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주보다 윤 후보는 4.7% 포인트 상승했고, 이 후보는 3.6% 포인트 하락했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지난주 오차범위 내인 0.5% 포인트였지만 이번 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인 8.8% 포인트로 벌어졌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안 후보는 지난주보다 1.0% 포인트 오른 8.2%, 심 후보도 1.4% 포인트 오른 4.4%를 기록했다.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는 윤 후보(47.0%) 이 후보(37.0%) 안 후보(1.4%) 심 후보(0.6%) 순이었다. 차기 대통령으로 가장 부적절한 후보가 누구냐는 질문에는 윤 후보가 36.0%, 이 후보가 34.7%였다. 이어 심 후보가 9.6%, 안 후보가 2.3%를 기록했다. 서던포스트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3%다.
피플네트웍스리서치(PNR)가 뉴데일리 의뢰로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20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47.6%, 이 후보가 39.8%로 나타났다. 두 후보 간 격차는 7.8% 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2.2% 포인트) 밖이다. 같은 기관의 지난 조사(지난 11∼12일) 대비 윤 후보는 1.0% 포인트 올랐고, 이 후보는 0.5% 포인트 떨어졌다. 안 후보는 7.0%, 심 후보는 2.2%를 기록했다.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로는 윤 후보가 52%, 이 후보가 40.9%로 집계됐다. 안 후보는 3.6%, 심 후보는 1.1%였다. 후보 선호도 조사에서도 윤 후보가 가장 높게 나왔다. ‘네 명의 대선 후보 중 정치 성향, 성별, 나이 등과 상관없이 인생의 친구로 지내고 싶은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윤 후보는 22.9%, 이 후보는 18.7%, 안 후보는 17.5%, 심 후보는 7.4%를 기록했다. 이 조사는 유무선(무선 90%·유선 10%) 자동응답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8.7%다.
리서치앤리서치가 동아일보 의뢰로 지난 18∼19일 전국 성인 1006명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43.3%, 이 후보는 36.4%였다. 2주 전 조사에서보다 윤 후보 지지율은 1.6% 포인트 올랐고, 이 후보 지지율은 0.6% 포인트 내려갔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6.9% 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밖에서 윤 후보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후보는 9.9%, 심 후보는 2.7%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리서치앤리서치 조사는 유무선(무선 80%·유선 20%)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3%다.
한국리서치, 오차범위 내 접전…尹, ‘느낌 좋아진다’ 증가세
한국리서치가 한국일보 의뢰로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이 후보가 36.9%, 윤 후보가 42.4%였다. 두 후보 간 격차는 5.5% 포인트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후보는 7.1%, 심 후보는 2.3%로 조사됐다. 투표할 사람이 없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자는 10.3%였다.윤 후보에 대해서는 ‘느낌이 좋아지고 있다’가 36.9%로, 지난해 12월 29∼30일 조사(19.9%)보다 17.0% 많아졌다. 반면 ‘느낌이 나빠지고 있다’는 33.8%로 지난해 조사(50.4%)보다 16.6% 포인트 적어졌다. 이 후보에 대해서는 ‘느낌이 좋아지고 있다’가 27.2%, ‘느낌이 나빠지고 있다’가 41.5%였다. ‘느낌이 좋아지고 있다’는 지난해 조사(27.4%)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느낌이 나빠지고 있다’는 응답은 지난해 조사(33.8%)보다 7.7% 포인트 많아졌다.
한국리서치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9.9%다.
각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