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시대, 환경교육 절실… 서울 폐교 활용해 ‘에코스쿨’ 짓는다

Է:2021-08-18 15:22
ϱ
ũ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에코스쿨 생태전환교육파크 조성 업무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세훈 서울시장, 한정애 환경부 장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뉴시스

기후위기 시대 대응을 위해 서울시·환경부·서울시교육청이 업무협약을 맺고 2024년까지 환경교육시설 ‘에코스쿨’을 조성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양질의 환경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생활양식 전환을 이끌고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정애 환경부 장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18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에코스쿨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코스쿨은 아동·청소년뿐만 모든 서울시민들이 환경에 대해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서울지역 최초의 광역단위 환경교육 거점시설로 2024년 9월 준공이 목표다.

오 시장은 “전 세계 인류가 기후위기 대책에 이렇게 절실한 적 있었나 싶을 정도로 코앞에 위기가 닥쳤다”며 “에코스쿨 시범사업이 서울시민과 미래세대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을 깊이 체화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모두가 위기라는 걸 직감할 때야말로 환경교육이 제대로 작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육감은 “에코스쿨 사업으로 복잡·다양한 환경문제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고,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에코스쿨은 지난해 3월 폐교한 서울 강서구의 공진중학교를 ‘제로에너지건물’로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건물이란 단열성능을 극대화해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생산을 통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이다. 서울시는 쓰임이 다한 폐교가 서울시민을 위한 기후·환경교육을 주도하는 중심 교육기관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242억원으로 환경부·서울시·서울시교육청이 각각 70%, 20%, 10%를 부담한다. 운영비는 국비 40%, 시 30%, 교육청 30%씩 부담한다.

에코스쿨 내부에는 전시실·학습실 등 교육시설이 설치되고, 운동장 부지와 옥상 등을 활용해 미니온실·텃밭·연못 같은 생태환경이 조성돼 시민·학생들이 환경교육을 받도록 한다. 아울러 기후·환경교육 연구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교육도 실시한다. 환경부는 기후·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교구·교재 등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다양한 시민 환경교육 기반을 마련 중이다. 올해 5개년 계획인 ‘제3차 서울시 환경교육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예산 약 20억원을 투입해 환경교육포털 구축,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운영, 자치구 단위 기초환경교육센터 확충 등을 추진 중이다.

환경 관련 체험시설도 운영한다. 새활용(업사이클링) 산업 전 과정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세계 최초의 복합공간 ‘서울새활용플라자’와 국내 첫 에너지자립형 친환경 공공건물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시행하는 9개의 ‘기초환경교육센터’ 등이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