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절반은 보험금 청구를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액인 보험금에 비해 청구 절차가 까다롭다는 게 주요 이유로 꼽혔다.
녹색소비자연대·소비자와함께·금융소비자연맹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실손보험금 청구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달 23~26일 최근 2년간 실손보험에 가입 중인 만 20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최근 2년 사이 실손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었음에도 포기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47.2%를 차지했다. 절반 가까운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을 아예 청구도 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들이 청구를 포기한 보험금은 30만원 이하가 95.2%로 대부분이었다. 그중에서도 1만원 초과~3만원 이하가 전체의 36.4%로 가장 많았다. 1만원 이하도 22.9%로 전체의 5분의 1을 넘겼다.
청구를 포기한 이유에 대해 ‘진료금액이 적어서’라는 응답자가 51.3%(중복응답)로 가장 많았다. 진료 당일 보험사에 제출할 서류를 미처 챙기지 못했는데 다시 병원을 방문할 시간이 없었다는 사람도 46.6%로 많았다. 증빙서류를 보내는 게 귀찮아서 청구하지 않았다는 응답자( 23.5%)도 적지 않았다.
가입자가 병원에서 일일이 증빙서류를 떼어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는 현행 실손보험금 청구 절차가 편리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36.3%에 그쳤다. 전산 청구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78.6%였다.
가입자 본인 동의 시 진료받은 병원에서 보험사로 증빙서류를 직접 전송하는 방안에는 85.8%가 동의했다.
녹색소비자연대 등은 “2009년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손보험 청구 절차의 불편을 해소하라고 개선 권고를 했음에도 소비자는 여전히 청구 절차의 불편으로 보험금 청구를 포기하고 있음이 이번 설문조사에서 다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