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민 10명 중 6명은 공유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으며 평균 90% 이상이 서비스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민 80% 이상은 서울시 공유 정책이 삶을 개선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서울시가 공유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조사 전문 기관에 의뢰해 서울 거주 19세 이상 59세 미만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6일 ‘2019년도 공유도시 정책 인지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2.7%가 서울시의 공유도시 정책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24일 밝혔다. 인지도는 매년 소폭 상승하고 있다.
공유 정책 개별 사업 인지도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95.2%로 가장 높았고 나눔카(71.6%), 주차장 공유(53.6%), 공공데이터 개방(33.2%) 순이었다. 서울시 공유정책 및 서비스를 한 가지라도 이용해본 시민의 비율은 59.6%였다. 그 중 따릉이(44.5%)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이용 횟수는 공공데이터 개방이 평균 25.2회로 가장 많았다.

공유 정책 개별 사업 만족도는 ‘아이옷·장난감 공유’(96%)가 가장 높았고 따릉이(93.6%), 나눔카(92.1%), 공공데이터 개방(89.9%), 주차장 공유(89.0%) 순이었다. 서울시 공유도시 정책 인지도보다 만족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제 이용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 공유 정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장소의 편리성(65.4%), 간단하고 편리한 이용 절차(43.3%), 경제적 이익(39.7%) 등이었다. 반면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장소가 불편해서(35.4%),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31.1%), 홍보 부족(24.2%), 이용 절차 및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22.3%) 등으로 나타나 서비스 편의성 개선, 홍보 강화 등의 과제도 확인됐다.
시민의 81.1%는 서울시 공유 정책 및 서비스가 시민 삶을 개선하는데 기여했다고 응답했고 향후 따릉이, 공공데이터 개방, 공구 대여소 순으로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했다.
민간 공유 서비스 인지도는 ‘차량 및 승차 공유’(68.9%) ‘공유 자전거’(61.2%) ‘전동 킥보드 공유’(54.4%) ‘배달 공유’(52.8%) 순으로 나타나 이동 수단(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민간 공유 서비스 중 향후 활성화를 희망하는 분야는 애완동물 돌봄, 배달공유 등 생활 및 서비스(33%)로 가장 높고 자전거, 차량 등 이동수단(21.8%), 유휴시설 등 공간(15.8%), 재능·지식(1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공유 활성화를 위한 중점 추진 사항으로는 공유기업 가이드라인 마련으로 공유서비스 신뢰성 확보, 공유 서비스 홍보, 새로운 공유 서비스 발굴 및 제공 등이 꼽혔다.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험가입 등 제도적 안전장치 마련, 공유 부문 사용자와 노동자의 안정적 경제활동 보장,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 등이 지적됐다.
정선애 서울혁신기획관은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의 공유도시 정책을 평가하고 공유 문화 확산과 다양한 공유 정책을 포함한 ‘공유서울 3기 기본계획’을 마련하는데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