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주차된 차량을 호출하고, 구급차가 다가오면 차선을 비켜 양보하는 등 5G를 이용한 자율주행이 실제 도로에서 구현됐다.
LG유플러스는 10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V2X’ 기반의 일반도로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5G-V2X는 5G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사물 간 무선통신 기술로, 차량을 다른 차량·보행자·기지국과 연결해 정보의 실시간 상호 교환이 가능하게 구현한다.
이날 시연 행사에서는 대형 세단 차량(현대 제네시스 G80)이 LG사이언스파크 일대 2.5km 구간을 약 15분간 주행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5G-V2X를 탑재한 상용차가 자율주행으로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를 주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마곡 일대에 구축된 LG유플러스의 5G 통신망과 자율주행 인프라로 완성도를 높였다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차 원격 호출, 선행차량 영상 전송, 무단횡단 보행자 감지, 긴급차량 접근 알림 등의 기술을 선보였다.

가장 눈에 띄는 모습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호출이었다. 앱 버튼을 누르면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탑승 지점으로 이동했다. 사용자는 앱으로 차량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자율주행이 일상화될 경우 주차장까지 내려가 차에 탑승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시간이 촉박한 출·퇴근 시간대에도 10분 이상을 아낄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5G-V2X를 통해 자율주행 탑승자가 예측하지 못한 돌발 상황이나 자율주행 센서가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날 행사에서는 도로 주변에 설치된 지능형 CCTV가 보행자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다이나믹 맵(Dynamic Map)을 통해 차량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경우 주행 속도를 줄이는 모습도 보였다.
이어 구급차가 후방에서 접근해오자 자율주행 차량은 긴급차량의 정보를 인지하고 알림메시지와 함께 차선을 양보해주기도 했다. LG유플러스는 이 기술이 재난 현장의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동시에 교통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인 최주식 부사장은 “이동통신 기반의 모빌리티 사업은 내비게이션 서비스로 시작해 주변 차량·사물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계까지 성장했다”며 “이번 실증에서 자율주행차-스마트폰-보행자-구급차 등이 실시간으로 연결된 ‘미래 스마트 교통환경’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시연을 시작으로 LG사이언스파크 일대를 자율주행 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의 5G망, C-ITS(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기술뿐만 아니라 LG전자의 5G 통신단말,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저지연 통신 기술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