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연천군→파주시→김포시→인천 강화군’ 공식 패턴화
발생지 외부 전파 막는 게 최우선 과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양상이 북한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일정한 패턴을 그리고 있다. 경기 파주·김포시에서 각각 1건씩 추가 발생하며 ‘발병지에서 계속 발병한다’는 불안한 공식에 힘을 실었다. 전문가들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경기 연천군→파주시→김포시→인천 강화군’이라는 패턴만은 벗어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경기 파주시 문산읍에서 12차(2300여 마리), 김포시 통진읍에서 13차(2800여 마리)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 농장이 나왔다고 3일 발표했다. 두 농장 모두 기존 발생 농장의 반경 10㎞ 이내인 방역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13차 농장의 경우 3차 발생 농장과 같은 지역이며 불과 5.7㎞ 떨어진 곳으로 확인됐다.
확진 결과가 나오면서 살처분 대상 돼지의 수도 부쩍 늘었다. 반경 3㎞ 이내에 농장이 없는 12차 농장과 달리 13차 농장은 밀집 사육지에 위치한다. 반경 3㎞ 이내에 위치한 농장을 합해 2만2525마리를 예방 살처분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더하면 이날 기준 약 14만 마리가 땅에 묻힌다. 수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인천 강화군처럼 5번째 발생 사례가 나온 경기 파주시의 모든 사육돼지를 살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틀간 4건이 추가 발생했지만 기존 발생 패턴을 벗어나지는 않았다는 게 그나마 다행스러운 부분이다. 확진 사례가 나온 경기 연천군과 파주시, 김포시, 인천 강화군을 벗어나지 않았다. 모두 북한과 이어진 임진강 벨트에 속해있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강을 따라 선을 그리며 발병하는 패턴이 추가된 것이어서 ‘확산’보다는 ‘확대’라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렇더라도 안심하기는 이르다. 11차(경기 파주시 적성면) 발병 사례처럼 불법 농장을 통한 전파 가능성이 없지 않다. 경기 연천군에서 야생 멧돼지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된 점도 우려를 더한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페이스북을 통해 “아직 방역망 구멍이라고 말하기는 이르다. 위험한 것은 중점관리지역을 넘어 남쪽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며 “요주의 기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