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군에 따르면 일라이트는 1937년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중금속 흡착과 유기물 분해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신비의 광석'으로 불리고 있다.
군은 영동 일라이트 원료 소재의 안전성과 효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지난 6월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설 오송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센터에 연구용역를 맡겼다.
그 결과 일라이트 원료 소재의 방사능 발생은 자연 방사능 수준이고 세슘·라듐·토륨·우라늄 등의 생활 방사선 수치가 안전관리법에서 제안하는 기준에 적합했다.
동물 모델에 적용한 아토피 피부염과 장내 염증 억제 효능에 대해서도 일라이트를 적용하면 염증 치유 후 일라이트를 처리하지 않는 피부에 비해 가피가 두꺼워지지 않아 효능이 확인됐다. 장내 염증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 입욕제, 동물용 사료 등에 활용할 수있다.
이에 따라 군은 경제의 활력화에 맞춰 부존자원인 일라이트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육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군은 일라이트의 가치에 일찌감치 주목하고 영동지역에 5억t 이상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라이트 관련 산업 활성화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박세복 수가 최근 시정연설에서 150억 원을 투자해 고순도 세라믹 설비와 테스트베드를 위한 일라이트 연구센터를 건립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군은 그동안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에 의뢰해 기본특성분석, 문헌자료조사, 특허조사와 일라이트 함유제품 성능과 기능성 평가를 받았다. 일라이트 자원 확보를 위해 채굴권 4개 광구(229㏊)와 탐사권 1개 광구 (46㏊)를 산업통상자원부 광업등록사무소에 등록했다.
현재는 4개의 광산업체에서 연간 2000t의 일라이트를 생산해 공업용, 농업용, 사료용 등 각종 산업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일라이트는 건강·미용·건축분야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영동의 핵심자원”이라며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일라이트 산업화와 연구를 강화해 지역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영동=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