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핵 6차회담 미국측 수석대표로 북한과 물밑접촉 등 대북문제에 핵심적 역할을 해온 조셉 윤(사진)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갑작스럽게 사임했다.
2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조셉 윤 특별대표는 "이번에 사임하는 것은 완전히 나의 결정이었다"며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유감을 표하면서 자신의 사임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후임으로 거론되는 인물은 아직 뚜렷하기 않지만 현지 언론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A) 한반도 담당관으로 이방카 트럼프와 함께 미국 고위대표단 자격으로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한 앨리슨 후커를 꼽았다.
조셉 윤의 사임보도에 언론과 전문가들은 일제히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비판적 목소리는 뉴시스를 인용한다.
사임 사실을 보도한 CNN은 지난 1년 동안 북한의 핵 야망 억제을 위해 외교적 노력의 선봉에 서 있던 사람이 바로 조셉 윤이었으며, 수년 만에 남북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어가는 시점에 그의 사임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의문을 더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윤 대표의 사임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외교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사라지고 있는데 대해 국무부 내부에 좌절감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WP는 “미 외교관들은 트럼프 정부가 국무부의 말에 귀기울이려 하지 않는데 대해 좌절감을 나타내왔다”며 최근 토머스 섀넌 국무부 정부차관의 조기은퇴 선언이 국무부 내부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꼬집었다.
뉴스위크도 북한과 미국 간의 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중요한 상황에서 국무부 내에서 한반도 문제에 정통한 전문인력에 공백이 생기게 됐다고 우려했다.
타임지는 윤 특별대표의 사임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의문이 더욱 제기되게 됐다고 분석했다.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가 트럼프 정부와 이른바 '코피 전략'을 둘러싼 견해 차로 인해 주한 미국대사 후보에서 밀려난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국무부 내 대표적인 대북 대화파인 윤 특별대표까지 사임하게 돼 심상치 않다는 이야기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윤 특별대표와 트럼프 정부와의 대북정책관 차이가 사임 배경이라고 설명했따. WSJ에 따르면 전·현직 관리들은 윤 특별대표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의 노력을 다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적 지원에 대한 높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고 입을 모았다.
에이브러햄 덴마크 우드로윌슨국제센터 아시아 프로그램 국장은 "윤 특별대표의 사임은 결정적인 순간에 미국 정부에게 큰 손실이라고 생각한다"라며 "그는 대화와 외교 지지자였다. 미국 정부 내의 대화에 그가 참여하지 못하게 된 것은 유감이다"라고 말했다.
마이클 푸크스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는 "윤 특별대표의 사임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행정부와 특히 백악관이 외교 정책의 우선 순위로 북한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라며 "정말로 우려되는 것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의 다른 관리들로부터 듣게 되는 군사 행동에 관한 말들이다"라고 지적했다.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국무부는 윤 특별대표의 사퇴가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 노력이 약화될 것을 보여준다는 해석엔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외교적 노력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 아니며 최대한의 대북압박 캠페인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어 국무부에선 윤 특별대표만이 한반도 문제를 다뤘던 것이 아니며 수잔 손튼 동아태 차관보 대행과 마크 내퍼 주한 미국 대리 대사 등 유능한 국무부 직원들이 한반도 문제에 관여한다면서 우려론을 일축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