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공휴일 검토 안 해” 추석 최장 ‘10일 연휴’ 물건너 갔다

Է:2025-08-16 14:02
:2025-08-16 17:37
ϱ
ũ

내수 진작 효과 의문…설 연휴 당시 해외 여행만 늘어

네이버 달력 캡처

정부가 오는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천절, 한글날, 추석, 대체휴일에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이 맞물리며 최장 10일의 연휴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됐으나 정부는 내수 진작 효과 등이 미미한 점을 고려해 임시공휴일을 지정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1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연휴가 길어지면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해 내수 활성화 효과가 미약해질 것으로 판단,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10월 긴 추석 연휴 등을 활용한 내수 활성화 방안을 선제적으로 강구해 달라”고 주문했으나 임시공휴일 지정은 내수 진작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내수 활성화를 시도해왔다. 그러나 연휴가 길어지면 해외 체류를 계획하는 경우가 많아져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실질적 내수 활성화 효과에 대해 의문이 제기돼왔다. 특히 올해 초 1월27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오히려 내수 관광이 위축됐다는 분석도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지난 6월 발표한 ‘임시공휴일 지정의 명암: 내수 활성화와 휴식권 보장의 현실과 한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해외 관광객은 297만3000명으로 월간 기준 사상 최고 수준이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7.3% 증가했다. 반면 국내 관광 소비 지출액은 3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 줄었다.

당시 3일이었던 설 연휴가 6일로 늘어나면서 수출과 생산에도 제동이 걸렸다. 1월 조업일수(20일)는 전년 대비 4일 줄었다. 그 결과, 수출이 49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2% 급감했다. 1월 산업생산도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감소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줄었다.

다만 정부가 추석 연휴에 임박해 임시공휴일을 지정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올해 초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같은 달 14일에서야 임시공휴일로 확정됐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