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가상화폐) 등급이 처음으로 매겨졌다. 이더리움은 기축통화 격인 비트코인을 앞질러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다.
미국 신용평가사 와이스 레이팅스는 2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74개를 평가한 등급을 공개했다. 등급은 ‘A: 탁월(excellent)’ ‘B: 좋음(good)’ ‘C: 보통(fair)’ ‘D: 취약(weak)' ‘E: 매우 취약(very weak)' 순으로 매겨졌다. A등급을 받은 코인은 없었다.
이더리움은 ‘B’로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이더리움이 네트워크에서 일부 병목현상을 나타냈지만 수월한 업그레이드 기술과 개선된 속도의 효과를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시가총액과 가격에서 가장 높은 비트코인은 ‘C+’ 등급으로 이더리움보다 두 단계 낮았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비트코인에 대하 “병목현상으로 지연사태가 발생하고 거래 비용이 비싸다”며 “소프트웨어 코드를 업그레이드할 즉각적 메커니즘이 없다”고 봤다.
이더리움 기반으로 개발 중인 이오스도 ‘B' 등급을 받았다. 카르다노(에이다), 네오, 스팀은 ’B-' 등급으로 뒤를 이었다. 대부분의 코인이 ‘C'에서 플러스마이너스(±) 등급을 획득했다. 널리 알려진 코인 중에는 비트코인골드, 아인슈타이늄이 ‘D+'로 낮은 등급을 받았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1971년 설립된 와이스 리서치에서 은행·보험 등 금융을 평가하는 신용급등 지표다. 이 지표가 신뢰를 담보하지는 않는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기술과 위험도 등 4개 항목을 기준으로 실시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암호화폐 등급을 매긴 것으로 알려졌다.
와이스 레이팅스 설립자 마틴 와이스는 “투자한 암호화폐에 대해 부정적 등급이 부여될 것으로 우려한 투자자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상당한 우려를 나타냈다”며 “디도스·해킹 공격과 SNS상의 자료 왜곡 등이 있었다. 발표를 위협하는 시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