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檢, 국정원 예산 수수 의혹 수사 전방위 확대
김백준 4억 받은 혐의 조사
MB와 관련성 부인한 듯
김진모, 5000만원 수수 혐의
민간인 사찰 무마 의혹도
MB정부 ‘왕차관’ 박영준도
사찰 무마에 개입 판단
검찰이 이명박(MB)정부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뇌물을 상납 받은 혐의로 김백준(78)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김진모(52)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공개수사 사흘 만으로 MB정부 청와대의 국정원 예산 상납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14일 MB정부 청와대 안살림을 책임지던 ‘MB 집사’ 김 전 기획관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및 국고손실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전 기획관은 MB정부 김성호·원세훈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각각 2억원씩 모두 4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전날 검찰에 소환돼 11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으나 이 전 대통령 관련성 등 혐의 대부분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가 혐의 상당 부분을 부인하는 점에서 증거 인멸 우려가 커 신병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전 비서관에 대해서도 특가법상 뇌물 및 업무상 횡령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들과 함께 압수수색을 받았던 김희중 전 대통령 제1부속실장은 구속영장 청구 대상에서 제외했다.
검찰에 따르면 2009∼2011년 청와대 파견 근무를 했던 김 전 비서관은 MB정부 국정원장으로부터 약 5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2011년 당시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 무마에 관여한 의혹도 받고 있다.
민간인 사찰 및 증거인멸 정황을 폭로했던 장진수 전 지원관실 주무관은 2012년 윗선으로부터 민간인 사찰 입막음용으로 받았다는 5000만원을 공개했다. 그는 당시 검찰 수사에서 장석명 전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통해 이 돈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김 전 비서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기에 앞서 장 전 비서관을 불러 조사했다. 장 전 비서관은 검찰 조사 후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앞선 검찰 수사 때와 같은 입장”이라며 “5000만원 전달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장 전 비서관을 거치지 않았다 해도 민정수석실이 어느 정도 관여됐을 것으로 본다. 당시 검찰 조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5000만원의 출처가 김 전 비서관이 국정원으로부터 받은 돈일 수 있다는 게 검찰 생각이다. 당시 수사 축소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김 전 비서관의 직속상관은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권재진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다.
검찰은 MB정부 ‘왕차관’으로 불린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역시 민간인 사찰 무마 시도 과정에 개입했을 개연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박 전 국무차장은 지원관실 소속 민간인 사찰 조직을 관장했다. 그는 민간인 불법사찰을 지시한 혐의로 기소됐는데, 당시 검찰은 지원관실 최종 보고라인이 ‘VIP’라고 적힌 문건을 확보하고도 박 전 국무차장을 지원관실 비선 라인의 가장 윗선이라고 밝혀 논란이 됐다. 검찰은 조만간 돈 전달자인 류 전 관리관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황인호 양민철 기자 inhovato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