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언론들은 우리 정부의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발표와 관련해 “아베 신조 총리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 참석을 보류할 수 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일본 일간 요미우리신문은 10일 조간에서 “정부가 아베 총리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석 보류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총리 관저 간부가 아베 총리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석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불참’이라는 구체적인 표현은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그동안 일본에서 정부의 발언 수위와 언론의 보도 경향을 감안하면 ‘보류’라는 표현에서 이미 불참 쪽으로 기울어진 무게중심을 짐작할 수 잇다.
요미우리신문은 정부의 한 고위관리가 한국의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에 대해 “평가할 것도 없는 이야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외무성 간부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존엄 회복과 상처 치유를 위한 노력을 요구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총리의 편지를 기대하느냐”고 말했다.
강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위안부 합의 태스크포스(TF)가 그동안 피해자 중심주의, 이웃국가 일본과 관계를 모두 고려해 진지한 논의를 가졌다”며 “정부는 피해자의 명예·존엄 회복, 상처 치유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 피해자, 관련 단체,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전 대통령 집권 시절의 우리 정부와 위안부 피해자 위로금 격으로 10억엔의 출연금을 지급했다. 강 장관은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합의 파기, 재협상 요구, 10억엔 반환을 결정하지 않았지만 위안부 피해자의 존엄 회복, 상처 치유를 위한 일본 정부의 지속적이고 진실한 노력을 요구했다.
10억엔에 대해서는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일본 정부와 (처리 방법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당장 돌려보내지 않지만 반환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그는 “국민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해 후속 조치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이니치신문은 “외무성 내부에서 강 장관의 발언에 모순이 있다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며 “발언 내용에 불투명한 부분이 많아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의미 해석을 놓고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외무성의 한 간부는 “10억엔을 충당하겠다는 말의 의미를 한국 정부에 물었지만 설명은 없었다”며 “돌려준다는 의미라면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