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몰린 상권은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으로 나타났다. 촛불을 든 대규모 인파가 주말마다 몰리면서 광화문역 근처에 활기가 넘쳤고, 역사적인 공간이 소비의 중심으로까지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SK텔레콤은 자사의 상권 분석 서비스 ‘지오비전’으로 분석한 결과 광화문역 상권이 5조8355억원의 연매출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최고 상권을 차지했다고 3일 밝혔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조사한 결과다.
광화문역 상권은 2013년 지오비전 조사에서는 연매출 7411억원으로 주요 상권 가운데 20위에 불과했지만 4년 만에 8배 가까이 매출이 급증했다. 이번 조사에서 광화문역 상권에다 촛불집회 영향권에 들었던 서울 시청역·종각역 상권까지 더할 경우 구도심 일대 지역 매출은 무려 12조7032억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 전국 최고 매출을 기록했던 서울 강남역 남부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는 13위까지 순위가 추락했다. 삼성 서초사옥 인력이 경기도 수원으로 대거 이동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삼성디지털시티가 위치한 수원시 영통구의 경우 최초로 연매출 순위가 100위권 내(81위)에 들었다.
서울 압구정동의 경우 같은 기간 순위가 3위에서 19위로 떨어졌다. 그나마 서울 삼성역(2위)과 선릉역(3위), 강남역 북부(4위)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강남권의 체면을 지켰다.
매출을 유동인구로 나눈 1인당 소비의 경우에도 광화문역 상권이 월 평균 39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 한 사람이 광화문역 일대에서 한 달간 쓴 돈이 390만원꼴이었다는 의미다. 서울 강동구 천호역 인근은 연매출 규모는 7위였지만 1인당 소비는 2위를 차지했다.
다만 광화문역 상권이 1위 자리를 유지할지는 미지수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광화문역 인근은 집회의 중심지로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당분간 지난해 촛불집회 수준으로 인파가 모일 행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시 강남 상권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글=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