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역에 설치된 모유수유실의 위생 상태가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화장실 변기보다 세균 오염도가 3~14배 높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 당 최도자 의원실이 추석을 맞이해 KTX 서울역과 용산역 등의 모유수유실과 화장실 변기의 오염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모유수유실이 화장실 변기 보다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용산역 수유실 내 정수기 버튼의 오염도는 1만3476RLU, 소파는 8952RLU, 기저귀 교환대는 2877RLU로 나타났다. 인근 화장실 변기(951RLU)와 비교할 때 수유실 물품이 3배에서 14배 가량 오염도가 높았다.
서울역 수유실의 경우에도 정수기 버튼의 오염도는 8481RLU, 소파는 3538RLU, 기저귀 교환대는 6063RLU로 나타났다.
RLU(Relative Light Unit)는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물체에 묻은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세균 오염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현재 모자보건법 등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시설과 휴게소, 여객시설 등에 모유수유시설을 설치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위생 및 관리 기준이 없어 제각기 운영되고 있다.
인구보건복지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전국에 1007개 공공 모유수유시설이 설치돼 있다.
최 의원은 “산모와 영아는 세균감염에 일반인보다 취약하다”며 “모유수유실의 위생관리 기준 마련 및 공공시설 전수 조사를 통해 산모와 영아가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