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을 오는 21일 오후 2시부터 6시 30분까지 서울중앙우체국 10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 포럼은 ‘문화기획자의 지역 생존’이라는 주제로 총 12팀의 지역문화기획자들이 현장의 노하우, 전망, 고민을 담은 이야기를 공유하는 자리다.
성북신나(성북), 동네형들(수유), 작은따옴표(신림), 설재우(서촌), 청년장사꾼(용산), 나인로드(이태원), 공공공간(창신), 플러스마이너스1도씨(목동), 예술수색단(수색), 옥상낙원DRP(동대문), 행화탕(아현) 등의 문화기획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게스트하우스 나인로드(9Road)는 삶을 위로하는 공간이다. ‘일이 재미없지만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다니는’ 직장인들이 모여 시간과 돈에 구애받지 않고 모임을 꾸리는 곳이다.
4명의 청년들로 이뤄진 ‘동네형들’은 ‘내가 행복한 날까지만’이라는 조건을 담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다. 이들은 수유동에 ‘동네공터’를 마련하고 혼밥족이 함께 하는 밥 모임을 운영한다. 또 청년들의 고민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청년약국’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사회적 기업 ‘아트브릿지’는 공연 수익금으로 봉제공장 밀집지역인 창신동에 ‘뭐든지예술학교’를 만들어 학교와 부모의 관심에서 멀어진 아이들을 위해 예술교육을 진행한다.
포럼에서는 전문가들이 각자의 사례를 발표하고 부문별로 집중토론하는 자리도 마련했다.
청년 부문은 심한기 청소년문화공동체 품 대표, 상업 부문은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 마을 부문은 라도삼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도시공간 부문은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등이 발제를 맡았다.
100여 명의 청년들이 모여 문화예술정책에 관해 새로운 의제와 제안을 만드는 프로그램 ‘청년, 문화 예술 토론’도 14일 오후 3~6시 종로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 13층에서 열린다.
‘청년 예술가 지원 제도’ ‘청년이 제안하는 지역문화’ ‘청년 문화 기획자들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토론에서는 예술, 사회적 기업, 시장,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청년들이 8개 그룹으로 나눠 각자의 요구, 현황, 전망 등을 논의한다.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은 전문 창작 예술 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이 융합되는 문화 트렌드에 발맞춰 가려는 서울문화재단의 변화를 보여주는 행사”라며 “새로운 활동 방향을 찾고 싶은 청년, 예술가, 활동가와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듣고 싶은 정책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지만 ‘청년, 문화 예술 토론’은 참가자가 20~30대 청년으로 제한된다. 참가자 접수는 서울문화재단 공공예술센터 페이스북(www.facebook.com/sfac.guerrilla)이나 현장에서 접수할 수 있다. 참가비는 무료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2-3290-7140)로 문의하면 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