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는 작년보다 0.7% 올랐다. 이는 1965년 소비자물가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올해까지 적용되는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5∼3.5%)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금까지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의 0.8%가 최저치였다.
저유가와 경기 부진이 겹친 점이 0%대 물가의 주된 원인이다. 연초부터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오른 담뱃값이 올해 소비자물가를 0.58%포인트 끌어올렸지만, 유가 하락 효과가 이보다 훨씬 컸다. 지난해 3분기까지 배럴당 100달러대(두바이유 기준)를 유지하던 국제유가는 현재 30달러대로 내려온 상태다.
내년부터는 소비자물가에서 유가 하락 효과가 사라지면서 물가상승률이 다시 1%대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12월 물가는 1.3% 올라 2014년 8월(1.4%)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12월 물가상승률이 1%대로 오른 것은 국제유가 하락폭이 둔화됐기 때문”이라며 “낮았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르고 서비스의 경우 공공요금, 공동주택 관리비 등이 전년 동기 대비로 오르면서 2%대 상승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올해 물가상승률 역대 최저인 0.7%…저유가·경기부진 영향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