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총 24일 중집위서 공투본 탈퇴 여부 논의-공무원연금 개혁 논의 분수령

Է:2014-11-23 17:29
ϱ
ũ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이 24일 오후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 탈퇴 여부를 논의키로 해 이날 회의가 공무원연금 개혁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공노총 안영근 사무총장은 23일 “내일 중집위에서 공투본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를 정식 안건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투본과 함께 가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지금까지 전현직 공무원들이 집회와 찬반투표 등을 통해 투쟁 의지를 충분히 보여줬기 때문에 이제는 협상체제로 전환해 실리를 추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공노총은 교육청노조(14개), 행정부노조(20개), 광역연맹(15개), 기초연맹(33개) 등 4대 산하연맹으로 이뤄진 조합원 12만명의 합법 노조다. 공노총이 공투본에서 탈퇴할 경우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단일대오를 이뤄 진행된 공무원단체들의 공무원연금 투쟁 동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투본은 조합원 14만명의 법외노조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등 50개 공무원 단체로 구성된 기구로 공무원연금개혁 투쟁의 구심체 역할을 하고 있다.

공노총이 공투본 탈퇴를 결정하면 지난 18일 새누리당과 구성에 합의한 ‘공무원연금 및 처우개선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당정노 실무위원회’가 본격 가동돼 공무원연금 개혁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공노총 내부에서 당정노 실무위원회 구성과 공투본 탈퇴에 대한 이견이 만만치 않아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다.

공투본 내 다른 공무원노조들은 공노총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용천 전공노 대변인은 “공노총이 어떤 결정을 내리든지 우리는 (연금개혁) 투쟁의 수위를 더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공노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난 21일 열린 공투본 대표자회의에서 공노총을 비난하며 당정노 실무위원회에 참여하려면 공투본에서 탈퇴할 것으로 요구했다. 공투본은 ‘사회적 합의체’ 구성이 전제되지 않으면 공무원연금 개편 논의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