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초롱-홍하상] 오하라 여자의 콩떡 한 개
한 푼에도 떡을 파는 배려심
교토에는 ‘오하라메’라는 유명한 콩떡이 있다. 찹쌀에 검은콩을 꾹꾹 눌러 박은 볼품없는 떡이다. 값도 아주 싸다. 헌데 이 볼품없는 떡은 교토의 명물 중의 하나다. 오하라메, 오하라에 사는 여자라는 뜻이다. 일본의 수도였던 교토 인근에 오하라라는 작은 마을이 있다. 하늘이 동전만 하게 보이는 산촌이다.
논과 밭이 거의 없는 가난한 그 오하라 마을 여자들은 생계를 위해 산에 가서 나무를 자르고 패서 한 단의 나무를 머리에 이고 교토로 간다. 서너 시간을 걸어야 교토다. 아침에 죽 한 그릇 떠먹고 오전 내내 걸어 그녀들은 교토 니시키 시장에 도착한다. 그리고 거기서 한 단의 나무를 팔아 2만원을 손에 쥔 후 그 돈으로 보리 두 홉을 사서 다시 오하라로 돌아간다. 오후 내내 걸어야 해가 질 때쯤이면 오하라에 도착할 수 있다.
그곳엔 어린 자식들이 어머니가 돌아올 때를 눈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다. 어머니의 보리 두 홉이 있어야 저녁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하라의 여자는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보리죽 한 그릇을 먹고 점심을 건너뛴 그녀들의 발걸음은 천근만근이다.
오하라로 나가는 교토의 데라마치 야나기 거리에 다와라야 요시토미(俵屋吉富)라는 떡집이 있다. 좌판에는 먹음직스러운 콩떡이 있다. 오하라의 여자는 너무 배가 고파서 오하라까지 걸어갈 기운이 없다. 눈앞에 자식들 얼굴이 어른거리지만 그거라도 한 개 사먹지 않으면 기진맥진해서 도저히 집까지 걸어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떡 한 상자는 열 개. 한 상자를 다 살 수는 없다. 결국 그녀는 한 개만 팔 수 없느냐고 물어본다. 주인은 고개를 가로 젓는다.
옷차림은 거지나 진배없이 더럽고, 게다가 장작을 머리에 이고 오느라 땀냄새는 진동을 한다. 떡집 주인은 행색이 너무나 꼬질한 그녀들에게 떡을 팔고 싶은 마음조차 없다. 처음에 떡장수는 그녀들에게 떡을 팔지 않았다. 그러나 곧 그녀들이 오하라 마을의 나뭇단 장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비로소 그녀들이 내민 동전 한 푼이 얼마나 힘들게 번 것인가를 눈치챈 것이다. 떡집 주인의 고개가 숙여진다. 한 닢의 동전이지만 그녀들에게는 천금보다 더 소중한 돈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날 떡집 주인은 오하라 여자들이 사먹는 콩떡을 좀 더 크고 실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낱개도 판매’라고 써 붙였다. 비록 단 한 개의 떡을 팔아주는 고객이지만 그들을 업신여긴 자신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이것이 그 유명한 오하라메 콩떡의 사연이다. “하찮은 액수의 손님이라도 소홀히 하지 마라. 그들의 동전 한 닢이 얼마나 힘들게 번 것인가를 생각하라. 손님을 차별하지 마라. 오늘 돈이 없다고 해서 내일도 돈이 없다는 보장이 있는가.”
손님 차별하지 않는 교토상인
일본의 상인들은 그런 사실을 오하라메의 나뭇단 장수들로부터 배웠다. 그리고 그 배움을 지금까지 실천하고 있다. 오늘날 오하라메라는 콩떡은 교토의 명물이 되었지만, 그 콩떡 속에 숨어 있는 사연을 일본 상인들이 알고 있기에 일본의 과자가게에서는 단 한 개의 과자를 사는 고객이라도 정성껏 포장해 준다.
요즘 교토에서는 해마다 4월 셋째 주에 ‘오하라메 마쓰리’라는 것을 한다. 오하라의 나뭇단 장수처럼 나무 한 단과 깡총한 하오리 옷을 입고 바로 그 오하라 여자들이 걷던 길을 나뭇단을 머리에 이고 걸어보는 축제다. 참가비는 2000엔. 그 옛날 자식들을 굶기지 않기 위해서, 공부를 가르치기 위해서 그렇게 고생하던 어머니들을 생각해보기 위해서다. 우리는 어떤가. 으리뻑적한 대형 백화점이 즐비하고 해외 명품 브랜드가 넘친다. 동전 한 닢의 소중함이 잊혀지고, 강남의 골목에는 밤마다 음식점의 네온사인으로 불야성이다. 그러나 잊지 마라. 우리의 어머니, 재래시장 상인들은 다만 얼마라도 벌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나와 있다는 사실을.
홍하상(논픽션 작가)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