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산층 2020년엔 4억명…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공략하라

Է:2012-11-11 19:51
ϱ
ũ
중국 중산층 2020년엔 4억명…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공략하라

미국 컨설팅업체 매킨지, 對중국 전략 수정 지적

2020년까지 중국에 중산층이 4억명으로 불어나 전체 도시가구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들은 막강한 소비력을 바탕으로 중국 내수시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초대형 소비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그동안 중간재 수출에 주력했던 우리 기업들도 고부가가치 상품, 소비재 등으로 대(對)중국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미국 컨설팅업체 매킨지가 발간한 ‘2020년 중국 소비자를 만나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6%에 불과했던 중국 도시가구의 중산층 비율은 2020년 51%를 차지한다. 가구 수로는 같은 기간 1400만 가구에서 1억6700만 가구(4억명)로 12배가 된다.

매킨지는 중국 중산층이 ‘소비의 표준’이 되면서 고급상품 소비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중산층은 1인당 연간 가처분 소득(연소득)이 1만6000달러(1740만원) 이상∼3만4000달러(3697만5000원) 미만인 가구다. 12년 전인 2000년 중국 도시가구 중 중산층은 1%에 불과했다.

중산층이 급증하는 동안 연소득 3만4000달러 이상인 부유층도 2000년부터 10년 단위로 0%, 2%, 6% 순으로 각각 늘어난다. 중산층과 부유층을 합친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에는 60%에 육박하는 셈이다.

같은 기간 연소득 6000달러(652만5000원) 이상∼1만6000달러 미만인 저소득층은 63%, 82%, 36%로 각각 줄어든다. 연소득 6000달러가 안 되는 극빈층도 2000년 36%에서 2020년 7%로 급감한다.

매킨지는 2010∼2020년 사이 중국 도시 소비자의 1인당 평균 연소득이 4000달러에서 8000달러로 2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이 지난 8일 전국대표대회에서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GDP)과 국민 평균 수입을 2010년의 2배로 늘리겠다고 선언했을 만큼 중산층 육성 의지가 확고하다.

중국 중산층 증가는 우리 산업계 판도에 상당한 파장을 던지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반도체나 석유화학 등 중간재를 주로 중국에 수출했다. 하지만 바로 이웃에 엄청난 내수시장이 만들어지고 있어 앞으로 수출 품목은 중산층을 겨냥한 고부가가치 상품, 소비재 위주로 바꿀 수밖에 없다. 반면 저가 노동력을 노리고 중국에 진출한 제조업 기업은 임금 상승에 따른 경영애로가 불가피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현대경제연구원 한재진 연구원은 “중국의 소비시장 확대가 빨라지는 만큼 내수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소비재 수출 품목을 확대해야 한다”며 “대기업뿐 아니라 수출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도 발굴,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