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여만 가는 우리금융 민영화… ‘메가뱅크안’ 정치권 거센 반발

Է:2011-06-08 18:18
ϱ
ũ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두고 각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매각이 무산되면서 산은지주와 합병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떠올랐지만 대형은행의 국유화에 대한 반대 여론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금융노조 역시 메가뱅크(초대형 은행) 출범 반대를 천명하며 이달 말 대규모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이에 따라 민간 금융지주의 인수합병(M&A), 우리금융 독자 민영화 등의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여론이 엇갈려 금융당국의 속앓이만 깊어지고 있다.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은 최근 우리금융을 인수, 지주 아래 2개의 은행을 두는 투 뱅크(two bank)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구상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거센 역풍이 불고 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산은금융의 구상은 초대형 관치금융을 만드는 정치적 매각 행위”라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이 훼손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야당 의원 15명은 지난달 두 지주사의 합병을 막기 위해 금융지주회사법·산업은행법·공적자금관리특별법 등 3개 법안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국유화 비판을 막기 위해 우리금융을 민간 금융지주와 짝짓기하자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 금융지주 회장들이 여전히 인수 의사가 없음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변수다. 어윤대 KB금융회장, 한동우 신한금융회장 등은 “대형 M&A를 할 여력이 없다”며 여러 차례 반대 의사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독자 민영화 방안도 제기된다. 어차피 산은지주와 우리금융을 합병할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다면 아예 국민주나 블록세일(대량매매) 방식으로 국민에게 지분을 판매하자는 것이다. 이는 우리금융이 강력하게 원하는 시나리오이기도 하다. 그러나 역시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기하는 만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불가능하고 국내 은행 대형화의 목적도 살리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가 내년 총선·대선과 엉켜 다음 정권으로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