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조용래] 하마오카 원전

Է:2011-05-09 17:52
ϱ
ũ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 이후 일본 사회에 원전 불안감이 확산일로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7일 도쿄 시부야(澁谷)에서는 시민 1만5000명(주최 측 발표)이 반(反)원전 데모를 벌였다. 3월 17·20일 같은 곳에서 열린 반원전 데모 참가자가 수백명 정도였음을 감안하면 큰 변화다.

지금까지 원전반대론은 일부 시민운동단체의 전유물이었다. 원전에 대한 경고성 저작들이 수없이 쏟아져 나왔지만 사람들은 무관심했다. 도쿄의 지인은 오래전 건성으로 봤던 고나가야 미노루(古長谷稔)의 ‘방사능으로 수도권 소멸’(2006)을 다시 꺼내 읽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그 책은 도쿄에서 서쪽으로 180㎞ 떨어진 하마오카(浜岡)원전이 지진·쓰나미로 사고가 났다고 가정하고 쓴 것이다. 대지진으로 원전 작동 중지, 쓰나미로 냉각장치 훼손, 원전건물 일부 폭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도쿄 강타 등으로 이어진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꼭 닮았다.

1974년과 78년에 각각 발전을 시작한 하마오카 원전 1·2호기는 안전성 미흡으로 이미 2009년 운전 정지됐고, 3호기는 정기 점검 중이며 현재 4·5호기만 가동 중이다. 지진학자들은 하마오카 원전이 도카이(東海)지진 예상 진앙지의 바로 위에 있다며 오래전부터 폐쇄를 주장해 왔다.

급기야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는 6일 저녁 하마오카 원전 가동 중지를 운영회사인 주부(中部)전력에 요청했다. 그보다 앞서 5일엔 가이에다 반리(海江田万里) 경제산업성 장관이 하마오카 원전 현장을 방문, 점검 중인 3호기의 운전재개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대지진·쓰나미·원전 사고 등의 복합재해를 거치면서 일본 정부의 리더십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쏟아졌는데 하마오카 원전을 둘러싸고도 같은 모습이 재현되는 듯해 안타깝다. 주무장관 입장을 하루 만에 총리가 뒤집는 상황, 그것도 운영회사와 사전 소통도 없는 일방적인 결정이었다.

물론 원전은 안전성이 생명이다. 간 총리는 대지진·쓰나미 대비를 위해 하마오카 원전에 15m 방파제를 건설하는 약 2년 동안 원전 가동을 중단한 후 재가동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마오카 원전이 전문가들의 지적처럼 누란지위(累卵之危)의 존재라면 좀 더 책임 있는 결정을 했어야 했다.

점검 중이던 고리 원전 1호기가 어제 100% 재가동됐다. 과연 이대로 좋은 걸까. 내일로 3·11 대지진 발생 두 달째인데 불안감은 커지기만 한다.

조용래 논설위원 choyr@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