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로, 주민 반대로… 오송역세권 개발 二重苦
충북도가 민선 5기 이시종 지사의 역점사업 중 하나인 KTX 오송역세권 개발 방식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오송역세권 개발 사업은 도가 2017년까지 민간자본 7200억원을 들여 청원군 강외면 KTX 오송역 인근 158만여㎡의 부지에 바이오 역사관, 관광관, 미술관, 체험관, 백화점 등을 갖춘 ‘바이오 문화·관광·상업 중심지’로 만드는 대형 프로젝트다.
도는 당초 오송 1, 2생명산업단지와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하나로 묶는 오송역세권을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 밸리’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세웠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투자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도는 투자가치가 높은 역(驛) 주변 도보권(걸어서 15분 이내에 오송역을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면적의 30∼40%)부터 단계적으로 수용해 개발하는 방식을 검토했다. 그러나 이 방식도 전체 부지를 수용해 한꺼번에 개발하는 ‘수용 일괄개발방식’을 선호하는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다.
도는 ‘수용 일괄개발방식’의 비용대비 편익비율(B/C)은 0.8, ‘수용 단계적 개발방식’은 0.82에 불과해 이런 개발 방식으로 투자자 모집에 나설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 때문에 고민이다. B/C는 1.0 이상이어야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
일정 지역은 수용하고 나머지는 보상비를 개발한 땅으로 주는 환지개발 방식의 ‘혼용 구역분할 방식’은 B/C가 1.1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용 일괄개발방식’을 선호하는 주민들이 동의해 줄지 미지수다.
도 관계자는 “연구용역을 통해 구역분할 혼용 방식과 수용 단계적 개발 방식을 검토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면서 “주민과 각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방침이지만 모두를 만족시키기는 어렵다는 점 때문에 고민”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사업방식이 확정되는 대로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 등을 열고 오송바이오밸리 마스터플랜 국제현상공모와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해 구체적인 개발내용을 담은 기본실시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청주=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