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 공포 정치, 뇌 질환 탓일 수도"
소련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이 공포 정치를 펼치며 비정상적 행동을 보인 것은 그가 뇌질환을 앓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스탈린의 주치의로서 시신 해부 과정에까지 참여한 소련 내과의사 알렉산드르 먀스니코프의 회상기에서 나왔다.
러시아 일간 ‘모스코프스키 콤소몰레츠’는 21일 ‘환자가 나라를 다스렸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먀스니코프의 회상기 중 일부를 공개했다.
구 소련 시절 유명한 내과의사였던 먀스니코프는 스탈린이 숨을 거두기 전 며칠 동안 그의 다차(러시아식 별장)에 머무르며 독재자의 임종을 지켜봤다. 시신 해부에도 참여했다. 그가 쓴 회상기는 1965년 정보기관에 압수됐다가 최근에야 그의 손자에게 전달됐다. 회상기는 조만간 ‘나는 스탈린의 주치의’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간된다.
스탈린은 1950년 3월 5일 사망했다. 시신 해부는 그 이튿날 모스크바 제1의학연구소 산하 생의학과에서 이루어졌다. 먀스니코프는 “스탈린의 뇌 좌반구에서 자두만한 출혈 지점이 발견됐으며 뇌동맥은 경화 현상이 심해 몹시 좁혀져 있었다”며 이것이 고혈압의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뇌 동맥 경화가 스탈린의 잔인함과 대인의심증, 적에 대한 두려움, 주변 사람과 사건에 대한 부적절한 평가, 완고한 고집 등을 키웠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먀스니코프는 “스탈린은 병을 숨기고 치료를 피했으며, 자신의 병이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했던 것 같다”며 “사실상 환자가 나라를 다스리고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이와 함께 스탈린의 심복이었던 비밀경찰 총수 라브렌티 베리야의 일기도 공개됐다. 베리야는 스탈린이 2차대전 기간 중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를 술에 취하게 해 유럽에 ‘제2전선’을 열게 만든 흥미로운 일화를 기록했다. 1948년 8월 처칠이 협상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하자 스탈린이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시작되는 유럽 ‘제2전선’ 개설을 줄기차게 요구했다는 것이다. 처칠이 단호히 거절하자 스탈린은 “술이나 하자”고 분위기를 전환했고, 결국 술에 취한 처칠이 스탈린의 제안을 받아들여 역사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양지선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