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 안정성 심사기준 형평성 잃어” 광주시, 과학벨트 입지선정 계획 반발

Է:2011-04-13 18:28
ϱ
ũ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과학벨트위)가 13일 2차 회의에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의 통합배치를 원칙으로 한 입지선정 계획을 심의·의결하자 광주시와 경북도 등이 반발하고 나섰다.

광주시는 누누이 강조해온 지반안정성 항목이 ‘적격-부적격’의 단순 방식으로 채택된 데 대해 형평성을 잃은 처사라고 지적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무엇보다 연구 인프라와 주거환경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동안 ‘삼각벨트’ 배치를 거듭 주장해온 광주시는 이날 과학벨트위가 특별법에 명시된 5대 입지요건 중 ‘지반 안정성’에만 ‘적격-부적격’ 중 택일하는 방식으로 심사기준을 적용하기로 한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1978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후 광주지역에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었다는 객관적 사실을 묵살하려는 처사”라며 공정한 채점방식을 마련해 달라는 항의서한을 과학벨트위와 과학벨트 기획단에 발송키로 했다.

반면 경북도지사와 포항시장은 과학벨트 입지는 정주환경 및 연구인프라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선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기초과학연구자들은 한곳에서 최소 6개월 이상 머물며 연구에 몰두한다”며 “과학벨트 입지 선정 기준의 하나로 국제공항 등 접근성을 강조하지만 해외의 성공한 과학도시를 볼 때 과학자들의 정주환경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프랑스 최대 과학도시인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파리에서 900㎞나 떨어졌고 미국의 실리콘밸리도 수도권인 동부지역에서 가장 먼 서부지역 전원도시에 위치해 있다”고 말했다.

박승호 포항시장도 “이번 사업은 연구 인력과 시설을 한데 모아 시너지효과를 거두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 목표”라며 “이미 100여개나 되는 연구기관과 연구소가 들어선 포항테크노밸리와 과학벨트를 반드시 연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대구=장선욱 김재산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