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감 떨어지는 사건에 중수부 왜?… 갑작스런 부산저축은행 수사 ‘아리송’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부산저축은행 계열사 5곳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을 놓고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그동안 부실 저축은행 수사착수 여부를 묻는 질문에 국민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던 대검 중수부가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데다 이 사건 자체도 중수부가 하기엔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법조계의 시각 때문이다.
특히 대검이 수사 착수 사실을 공개하면서 일선 지검의 수사계획도 밝혔으나 정작 해당 지검은 사전통보조차 받지 못했다가 뒤늦게 압수수색에 나서는 등 손발이 맞지 않는 듯한 인상도 주고 있다.
대검이 15일 수사 대상으로 언급한 보해저축은행과 도민저축은행의 경우 관할청인 광주지검과 춘천지검은 당일 압수수색을 하지 않았다. 대검 중수부의 저축은행 수사착수 사실이 알려지면 증거인멸 등의 우려가 생기는 만큼 동시에 압수수색을 하는 게 정상이지만 이들은 하루 늦은 16일에야 실시했다. 이들 지검은 대검이 부산저축은행 등을 압수수색하던 15일 법원에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했다. 검찰 관계자는 “15일 오전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한 것은 맞지만 대검과 협의해서 이뤄진 수사 일정”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검찰 안팎에선 대검 중수부가 일선 지검에 미리 압수수색 일정만 귀띔해줬어도 대비를 했을 것이라며 당황스러워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결국 중수부가 서둘러 저축은행 수사에 착수하다 보니 일선 지검과 충분한 협의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중수부의 이런 조급함이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에서 중수부 폐지론이 논의되는 상황 때문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중수부의 존재 이유를 알릴 사건이 급박하게 필요했던 게 아니냐는 것이다.
우병우 대검 수사기획관은 “국민경제에 미칠 악영형이 크기 때문에 중수부가 나선 것이지 다른 정치적 의미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대검 중수부는 부산과 전주, 대전, 서울 등 부산저축은행 계열사에서 압수한 자료 분석에 주력했다. 검찰은 압수품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인 박모씨와 은행 경영진 김모씨 등 관련자를 차례로 불러 불법대출 경위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박씨는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주와 친척 관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