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프리카·중동 외교 포기할 셈인가
정부의 재외공관 운영 및 외교인력 활용에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의 ‘외교통상부 본부 및 재외공관 운영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정부가 입버릇처럼 강조하는 글로벌 외교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우리나라 재외공관은 1991년 141개에서 지난해 156개로 증가했고, 외무 공무원도 1752명에서 1923명으로 늘었다. 그런데도 같은 기간 자원 대륙 아프리카의 재외공관은 18개에서 13개로 5개나 줄었다. 국제무대에서 발언권이 커지고 있는 중남미 지역 공관도 1개 줄었으며, 석유 공급처이자 신흥 수출시장인 중동지역 공관은 1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아프리카의 경우 문제가 심각하다. 중국은 무려 42개 공관을 두고 있으며. 일본도 25개 공관을 갖고 있다. 두 나라가 미개척지인 아프리카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팽창외교를 펴고 있는 데 반해 우리는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아프리카 전 지역에 파견된 외무 공무원은 46명에 불과하다. 주 세네갈 대사관에선 직원 4명이 공관이 없는 말리 기니비사우 등 인근 5개국 업무를 함께 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거의 방치하고 있는 셈이다. 아프리카의 경우 풍토병과 열악한 근무조건 때문에 외무 공무원들에겐 최악의 기피지역으로 꼽힌다. 그것이 공관 축소 및 직원 감소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외교부는 고위공무원을 본부에 정원보다 27명 더 많게, 재외공관에는 정원보다 33명 적게 배치해 놨다는 감사원 지적을 받았다. 또 40개 총영사관의 업무량을 조사한 결과 편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력 운영이 주먹구구라는 얘기다.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
외무 공무원의 언어능력 부재도 골칫거리다. 스파이 혐의 논란으로 외교 분쟁을 겪고 있는 리비아, 한때 파병했던 이라크, 주요 석유 수입국인 이란·쿠웨이트에는 현지어를 할 수 있는 공무원이 단 1명도 없다고 한다. 이래가지고 무슨 외교가 되겠는가. 한심한 노릇이다. 외무 공무원을 선발할 때 제2외국어 능통자를 특별히 우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