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총회장 정동균 목사)와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총회(총회장 김동기 목사)가 선교적 연합체 구성을 포함한 통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양 교단의 선교적 연합 논의는 “한국교회가 여러 어려운 상황 속에서 장로교와 오순절 교단이 하나 되어 힘을 모으자”는 공감대에서 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교단은 각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선교, 교육 등 공동의 사역
‘아주 먼 옛날’ 찬양이 울려 퍼지는 예배당에서 객석을 채운 통일선교 동역자들이 하나둘 일어나 무대 앞으로 나아갔다. 이들의 손에 들린 장미꽃은 아버지 고(故) 대천덕 신부를 대신해 선 대명자(옌시 토레이)씨와 ‘4대째 사명’을 이어받은 아들 벤 토레이 신부, 통일 노래를 만드는 김한별 작곡가와 통일을 주제로 글을 쓰는 조경일 작가 등 수상자들에게 차례로 안겼다. 13일 서울
저자는 여덟 가지 주제를 통해 믿음에 관해 이야기한다. ‘믿음은 하나님을 아는 것.’ 저자가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전제한 믿음의 정의다. “믿음이 이긴다”는 저자의 근거는 믿음이 하나님에 대한 앎이며, 능력이고 힘이라는 것이다.
믿음은 어떻게 생길까. 말씀을 진심을 듣고 삶에서 작은 실천들로 주를 경험할 때 그 역사가 시작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 핵심은
가족이 함께 쓰도록 구성된 3개월 분량의 신앙 노트다. 매일 ‘오늘의 말씀’을 읽고 가족 각자의 기도 제목과 감사 제목을 기록할 수 있다. ‘하나님이 주시는 만족을 얻는 가정’ ‘서로 의지하고 격려하는 가정’ ‘항상 하나님을 기대하는 가정’ 등 주제에 따라 매일 정해진 기도문과 ‘오늘의 미션’이 제시된다. ‘인생 네 컷 사진 찍기’ ‘가족이 함께 음식 만들어 먹기’ 등 다
가난과 폭력, 사고로 얼룩진 청년 시절을 지나며 저자는 절망 속에서도 하나님의 손길을 체험했다. 2014년 보육원 퇴소 청년에 대한 기사 한 줄이 그의 인생을 바꾸었다. 세상에 내던져진 아이들을 품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 하나로 시작된 작은 순종은 교회와 성도들의 마음을 움직여 ‘선한울타리’라는 사역으로 자라났다. 이 책은 지난 10년간 자립준비청년들을 품고 동행해 온 그
일과를 마치고 식당이나 선술집에서 저녁거리를 사 가거나 끼니를 때운다. 허름해 보이는 공동 주택이라도 도심에 가까울수록 거주비가 비싸다. 같은 직종에 종사하거나 취향과 사상이 비슷한 이들끼리 모여 휴일을 보낸다.
흡사 현대인의 초상 같지만 이는 로마제국 주요 도시에서 생활했던 1세기 근로자의 삶을 묘사한 것이다. 이탈리아 폼페이와 오스티아, 튀르키예 에베소 등 당대 대도시엔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이었던 지난 11일 알지도 못하는 나라에서, 한 번 만나보지 못한 사람들의 자유를 위해 싸우다 희생된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노래와 연주로 추모하는 음악회가 열렸다. 극동방송(이사장 김장환 목사)이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개최한 ‘인천상륙작전 75주년 및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 2025 가을 음악회다.
김장환 목사는 이날 “이번 가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복음(福音)을 ‘예수의 가르침’ 혹은 ‘예수에 의한 인간 구원의 길’로 정의한다. 종교가 없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더구나 기독교인이라면 매우 친숙한 내용이다. 한데 ‘복음 수업’(두란노)을 펴낸 이인호(63) 더사랑의교회 목사는 “신앙인이라면 더 자주, 반복해 복음을 들어야 복음대로 살 수 있다”고 강조한다. “믿은 지 수십 년이 지나도 예수
…예수께서 이르시되 청년아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 하시매.(눅 7:14)
…He said, “Young man, I say to you, get up!”(Luke 7:14)
영국의 설교자 찰스 스펄전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망이 우리의 생명이신 예수님과 마주치기만 해도 그 족쇄를 풀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예수님의 은혜는 언제나 흘러넘치는 은혜입니다. 주님이
추수감사절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북미 대륙에 도착한 청교도들이 첫 추수 이후에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곡식 재배를 도와준 원주민들 함께 음식을 나누는 것으로 시작됐습니다. 1623년 매사추세츠 주지사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추수감사절’로 지킬 것을 선언했고, 1789년 조지 워싱턴 대통령이 이를 전국 기념일로 확대했으나 제3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은 왕의 관습이라며 이를 중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