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산불이 열흘째를 맞은 30일 산림당국이 마지막 화선인 지리산 권역 밤샘 진화작업에 이어 날이 밝으며 헬기 50대 등 장비와 인력을 집중 투입해 진화하고 있다.
이 날 산림당국은 마지막 남은 화선인 지리산 외곽 200m 주불 진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현재 진화율은 전날과 같은 99%다.
산림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50대를 투입하고 인력 1473명, 차량 213대를 배치해 불길을 잡고 있다.
지리산 권역 화선이 형성된 일대는 경사가 40도에 달하는 가파른 곳이 많고 임도 등 진입로가 없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형상 공중진화대, 특수진화대, 고성능 산불 진화차 등 인력 및 장비 투입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깊은 산이다보니 낙엽층 두께가 최대 100㎝에 달하고 무게는 ㏊당 300~400톤에 달할 정도로 두터워서 이를 연료로 삼아 산불이 확산하는 이른바 ‘지중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불리한 지형여건과 함께 지리산 권역은 바람을 예측하기가 힘들어 진화대원을 대거투입하고 악전고투를 이어갔지만 전날까지도 주불 완전 진화를 하지 못했다.
전날 일몰 뒤 산림당국은 인력 996명과 장비 201대를 배치하고 야간 대응했고 현재 지리산국립공원 안에 번진 불길은 모두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밤 사이 지리산국립공원 경계 외곽인 도솔암 인근에서 불씨가 되살아나 현재의 화선 200m가 새로 생기면서 진화 중이다.
산청 산불의 영향 구역은 1858㏊, 총 화선은 71.2㎞로 남은 길이는 지리산 권역 0.2㎞이며 산불로 인해 사망 4명, 중경상 10명 등 총 1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재민의 대피생활도 길어지는 가운데 산청 동의보감촌 등 7곳에 현재 528명이 생활 중이며, 주택 28채, 공장 2곳, 종교시설 2곳 등 시설 83곳이 산불 피해를 입었다.
한편 산청 산불을 진화하다 숨진 창녕군 소속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과 공무원 관련, 고용노동부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역산불전문예방진화대는 도내 지자체 소속인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소속으로 산불 발생시 해당 지자체에 의해 소집된다. 대개 시군별로 10명 이내 인원을 1개 조로 해 총 2개 조를 광역산불전문예방진화대로 편성한다.
이들은 평소 각 시군에서 발생하는 산불을 담당하다 대형 산불이 발생할 경우 경남도 등의 소집 명령이 내려지면 현장에 지원을 가 도와 산림청 등이 구성한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 지휘를 받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숨진 대원과 공무원은 창녕군 소속이지만 현장 투입 당시 경남도와 산림청 등의 지휘를 받았다는 점에서 산불 현장 중대재해 예방 의무를 누가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것인지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사고 이후 숨진 대원 등이 기본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현장에 투입됐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하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