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적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기후경제’ 전환을 목표로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전국 최초로 시행되는 ‘기후보험’, 초소형 인공위성을 활용한 ‘기후위성 개발·발사’, 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인 ‘기후펀드’를 포함하며, 도는 이를 통해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제 전환을 선도할 계획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2월 12일 경기도의회 도정 업무보고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민생경제를 가로막고 있다”며 “경기도는 기후위성, 기후펀드, 기후보험을 통해 기후위기와 경제 전환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도는 3월부터 전국 최초로 모든 도민을 대상으로 한 ‘기후보험’을 시행한다.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자동 가입되는 이 보험은 온열질환·한랭질환 진단비와 감염병 진단비를 지원하며, 기상특보 관련 4주 이상 상해 시 사고 위로금을 정액 지급한다.
특히 약 16만명의 기후취약계층에게는 입원비, 의료기관 교통비, 구급차 이송 서비스, 정신적 피해 지원 등 추가 혜택이 제공된다. 도는 이를 위해 약 34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1년 단위 계약으로 운영한다.
또한 도는 국내 최초로 초소형 인공위성을 활용한 ‘기후위성 개발·발사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민간 주도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정밀한 기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기후정책 고도화,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3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도는 올해 2분기에 공공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인 ‘기후펀드’를 시행한다. 미활용 국공유지에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발전 수익 일부를 지역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와 주민 소득 증대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며 기업들의 RE100 이행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 외에도 도는 약 3640억원을 투입해 에너지 취약지역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등 총 121개의 과제를 포함한 ‘경기 기후 브릿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김 지사는 “기후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로 더 이상 뒤처져서는 안 된다”면서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수원=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