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선택권↑, 입시 무관 종교과목 외면 우려…교목실 축소될까 발 동동

Է:2024-07-23 14:03
ϱ
ũ

[위기의 기독사학] <중> 설상가상 고교학점제

ChatGPT

고교학점제 도입을 앞두고 기독사학들이 긴장하고 있다. 내년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 즉 고교학점제가 전격 시행됨에 따라 입시와 무관한 종교 교과가 외면받을 수 있을 거란 우려 때문이다. 종교 교과의 축소는 곧 기독 사학의 종교 교육의 중심축인 교목실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고교학점제가 기독사학의 종교 교육과 정체성을 흔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종교 과목을 선택할까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다. 전에는 주어진 시간표의 수업을 듣고 졸업했다면 이제는 대학처럼 본인이 수업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고등학교 3년간 192학점, 한 학기당 약 32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할 수 있다.

문제는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종교 과목이 필수에서 선택 과목으로 바뀌게 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기독사학에 다니는 학생이라도 종교 과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듣지 않아도 된다. 고교학점제대책위원장인 윤재희 숭실고 교목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들이 종교 과목을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입시와 관계가 없기 때문”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고교학점제에서 6학기(3년) 동안 같은 수업을 반복해서 들을 수 없게 규정한 점도 기독 사학들에는 적지 않은 고민거리다. 종교 교과를 억지로 다양화하지 않는 한 학생들은 기존보다 종교 수업을 적게 이수하게 된다. 고교학점제에서 교과별 최소 학점이 2점이라는 점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김세환 덕신고 교목은 “종교 교육의 경우 2학점, 즉 한 번의 수업이 2시간 동안 이어져야 할 과목이 아니다.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신앙과 가치를 전수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라며 “종교 과목에 2학점을 부여하면 다른 과목이 그만큼 편성에서 빠지게 된다. 진로나 취학에 대한 부분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서 고민이 깊어지는 지점”이라고 말했다.

교목실이 사라진다?
일부 기독사학에서는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교목실이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포착됐다. 종교 과목의 영향력이 줄면 담당 교사의 수요가 줄고 자연스럽게 교목실의 영향력도 약해질 수 있다는 논리다. 교목전국연합회 회장인 용석범 대광중 교목은 “교목실은 기독사학에서 종교 교육의 중심으로, 교목실의 기능이 약화하면 기독사학의 정체성 유지에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교목실이 담당하는 다양한 신앙 활동도 감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단 고교학점제뿐 아니라 사립학교의 특성을 무시한 채 교육과정을 획일화하는 교육 정책에 대한 우려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기독사학의 특성은 사라지고 단순한 입시 준비 기관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게 교목들의 공통된 견해다. 김종화 명지고 교목은 “고교학점제뿐만 아니라 평준화 정책, 사립학교법 개정, 종교교육과정, 자사고 폐지, 사학 공영화 정책 등 획일화된 교육정책이 기독사학의 자율성과 정체성을 심각하게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립학교의 자율성은 기독교사립학교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기초로서 매우 중요하다”며 “그러나 이러한 자율성이 종교교육의 자유와 함께 위축되면서 기독교사립학교의 특수성과 다양성이 무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국민일보DB

한편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고교학점제가 기독사학의 교육 자율성을 해치지 않는다고 반론을 전했다. 그는 “오히려 선택과정을 통해 학교의 종교학적 과목도 선택할 수 있게 된다”며 “고교학점제 도입 후에도 학교의 자율성은 유지될 것이며 이는 기독사학에도 해당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장인 박상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는 “기본적으로 한국의 교육정책이 사립학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반영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사립학교 특히 종교계 사립학교의 존재를 인정하고, 학교의 건학이념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고교학점제를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특혜를 달라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헌법적 권리를 회복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동준 이현성 기자 sd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Ŀ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