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미 볼리비아에서 군부 일부가 대통령궁까지 무력 진입했다가 회군하자 주볼리비아 대사관이 교민·관광객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26일(현지시간) 볼리비아군 핵심 지도부는 “무너진 조국을 되찾을 것”이라고 선언하며 일촉즉발 상황으로 끌고 가다가 대통령의 ‘쿠데타 시도’ 강경 대응 천명과 시민들의 반발 움직임 등에 결국 회군했다.
볼리비아군 일부 장병들이 탱크와 장갑차 등을 앞세운 채 수도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한 건 현지시간 이날 오후 3시 전후다. 무리요 광장 앞에는 대통령궁(정부청사)과 국회, 대성당이 있다. 볼리비아군은 청사 앞에 대오를 갖추고 시민들의 통행을 일부 통제했고, 장갑차로 청사 건물 입구를 부쉈다.
일부 장병은 광장에 몰려온 시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가스를 쓰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펑’하는 소리가 광장 주변을 채우며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이날 수도 진군은 합참의장이었던 후안 호세 수니가 장군 주도로 진행됐다.
수니가 장군은 대통령궁 밖 현지 취재진에게 “수년 동안 소위 엘리트 집단이 국가를 장악하고 조국을 붕괴시켰다”며 “우리 군은 민주주의 체제를 재구성해 국가를 일부 소수의 것이 아닌 진정한 국민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고 엘데베르는 보도했다.
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엑스(X)에 “규정에서 벗어난 군대 배치가 이뤄졌다. 민주주의는 존중받아야 한다”고 적었다.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주변국과 유럽연합 등 국제사회는 일제히 군부의 무력 행위를 성토했다.
뉴스를 보고 놀란 시민들은 마트로 달려가 물품을 사재기하는 등 볼리비아 곳곳에서 큰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볼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은 긴급 안전 공지를 통해 수도 라파스 도심 대통령궁 인근 접근을 삼갈 것을 교민과 여행객에게 당부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궁 청사 안으로 들어온 수니가 장군과 대면한 자리에서 “군 통수권자로서 이런 불복종을 용납할 수 없으니 철군할 것”을 요구했다. 이후 군 지휘부(3명)를 즉각 교체했다. 무리요 광장에 모인 시민들도 군을 비판하는 구호를 외쳤다고 텔레비시온 우노는 전했다.
볼리비아군은 결국 이날 오후 6시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에 철군했다. 로이터·AP통신 등은 목격자 진술을 인용해 군 장병들이 광장을 떠나는 모습을 보도했다. 로이터는 볼리비아 검찰이 수니가 장군에 대한 범죄 혐의 수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