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국내 방송은 채널별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두 곳에 흩어져있었다. KBS·MBC·SBS 등 3사는 웨이브에서, tvN·JTBC 등은 티빙에서 봐야 했다. 이 두 개의 ‘토종’ OTT가 합병을 추진한다. 앞으로는 하나만 구독해도 더욱 다양한 채널을 시청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CJ ENM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티빙과 SK스퀘어의 웨이브가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측은 “OTT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의를 거쳐 주주사 간 MOU를 체결했으나 현재 상세한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다. 현재 CJ ENM은 티빙 지분 48.85%, SK스퀘어는 웨이브 지분 40.5%를 보유하고 있다. 합병 비율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CJ ENM이 최대 주주가 되고 SK스퀘어가 2대 주주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양사의 통합이 마무리되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최대 930만명(중복 가입자 포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OTT인 넷플릭스는 MAU가 1137만명이다. 양사 합병은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등 글로벌 공룡들에 비해 턱없이 자본이 부족한 국내 OTT들의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드라마·영화 등 콘텐츠 사업은 막대한 제작비가 소요된다. OTT 산업은 양질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 신규 구독자 유입을 늘리고 기존 구독자를 록인(Lock-in·묶어두기)하는 게 관건이다. 하지만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애플 tv, 쿠팡플레이 등 거대 자본을 등에 업은 OTT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제작비는 갈수록 높아졌다. 토종 OTT들의 제작비 부담은 글로벌 회사와 비교해 더욱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 여파로 티빙은 12월 1일부터 신규 가입자의 구독료를 인상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