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 중 하나가 ‘김치’라는 프랑스 연구진의 분석이 나왔다.
영국의 더 선은 지난 13일 장 부스케 프랑스 몽펠리에대 폐의학과 명예교수가 이끈 연구진이 코로나19 사망자 수와 국가별 식생활 차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이같이 밝혔다고 보도했다.
연구진은 특히 한국과 독일의 사망자 수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이유에 주목했다. 두 나라는 식생활에서 발효한 배추나 양배추를 주식으로 먹는 공통점이 있었다. 한국은 김치를, 독일에서는 양배추를 싱겁게 절여 발효시킨 사워크라우트를 먹어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적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발효한 배추는 사람 세포막에 있는 효소인 ACE2(앤지오텐신전환 효소2)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이 ACE2와 결합해 세포 속으로 침투하는데, 김치와 사워크라우트가 일종의 ‘ACE2 천연 억제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식생활이 코로나19 피해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근거로 스위스를 예로 들기도 했다. 스위스 내에서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보다 사망자가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 이유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선 독일식 김치인 사워크라우트를 먹어 상대적으로 사망자 수가 더 적었다고 설명했다.
장 부스케 교수는 “이전까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과 국가별 식생활 차이의 상관관계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식단을 바꾸는 건 코로나와의 싸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재영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