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O가 지난 20일 실시한 2차 드래프트에 대해 말들이 무성하다. 보상금이 너무 높다는 불만과 함께 지명할 선수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또 특정 구단에서 너무 많은 선수가 한꺼번에 빠져나간다는 우려도 있다. 껄끄러운 베테랑 처리용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래도 2차 드래프트는 계속돼야 한다. 이번 2차 드래프트를 통해 팀을 옮긴 선수는 모두 18명이다.
이들 가운데 두산 베어스에서 한화 이글스로 옮긴 외야수 정진호와 투수 이현호는 즉시 전력감이다. 두산에서 상대적으로 뛸 공간이 부족한 반면 한화에선 1군 선발 요원으로 뛸 충분한 기량을 갖추고 있다. 한화에서 LG 트윈스로 이적한 정근우도 외야수 뿐만 아니라 예전 2루수 자리를 되찾을 수 있다.
키움 히어로즈에서 KT 위즈로 옮겨간 투수 이보근과 KIA 타이거즈에서 SK 와이번스로 옮긴 김세현의 경우 올 시즌 부진했지만, 충분히 재기 가능한 선수로 분류된다. 롯데 자이언츠에서 SK로 이적한 채태인의 경우도 당장 1군 1루수로 뛰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상당수 선수들이 원소속구단에서 설 자리를 잃었지만 이적팀에선 기회를 얻게 됐다. 제2의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차 드래프트의 원 목적은 각 구단의 전력 평준화와 포지션 중복 등으로 경기 출장이 적었던 선수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한 취지에서 시행되는 제도로, 2011년 시작 이후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미국 메이저리그의 ‘룰5 드래프트’를 본따 만든 제도다. 올해도 본래 취지에 충실했다고 본다.
그렇다면 올해 2차 드래프트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하나씩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우선 보상금이다.각 라운드 별 구단 보상금은 1라운드 3억원, 2라운드 2억원, 3라운드 1억원이다. 40명 보호 명단에서 빠진 선수에게 1라운드에서 3억원이나 투자하는 것은 너무 지나칠 수 있다. 단계별로 낮추면 된다.
또한 1라운드를 패스하면 다음 라운드 지명권을 주지 않는 방식도 변경해야 한다. 1라운드를 패스해도 적은 금액에 데려오고 싶은 선수가 있을 수 있다. 2,3차 지명권을 유지시켜 주는 게 맞다.
그리고 뽑을 선수가 없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 2차 드래프트의 지명 대상은 각 구단의 정규시즌 종료일을 기준으로 보호선수 40명을 제외한 소속선수, 육성선수, 군보류선수, 육성군보류선수다.
단, 당해 연도 FA 승인 선수(해외 복귀 FA 포함)와 외국인선수, 2018년 이후 입단한 1, 2년차 소속선수, 육성선수, 군보류선수, 육성군보류선수는 지명 대상에서 제외됐다. 말그대로 너무 많이 보호가 되는 것이다. 보호선수 범위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특정 구단에서 너무 많은 선수가 빠져나간다는 지적은 그만큼 그 구단이 선수 육성을 잘해왔다는 반증이다. 특정 구단만 볼게 아니라 kbo리그 전체 관점에서 봐야 한다. 전력 평준화 없이 상위리그와 하위리그로 나뉘어 한 시즌이 굴러간다면 관중은 경기장을 찾지 않게 된다.
그리고 4명 정도의 선수가 빠져 나간다고 해서 큰 문제가 발생할 정도는 아니다. 오히려 선순환을 통해 프로야구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발상을 전환해 매년 실시하는 쪽으로 가는 게 올바르다.
자유계약선수(FA) 영입이나 트레이드 외에 전력을 보강할 수 있는 좋은 루트다. 도입 취지였던 전력 평준화에도 긍정적이다. 특히 양극화가 심했던 올 시즌을 보면 2차 드래프트 확대는 절실히다. 특정 구단의 이익만 바라볼게 아니라 인기가 급락하고 있는 한국프로야구의 위기 상황임을 직시해야 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