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는 6일 “정부는 5일 오전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앞으로 당국과 사업자 등이 포함된 공동점검단을 구성해 방북할 것임을 통지했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이 시설 철거를 주장하고 있지만, 어쨌든 정부는 (관광 시설) 재정비 차원에서 개보수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해왔다”며 “그런 것을 하기 위해서 (현장) 점검은 필수”라고 말했다.
북한이 남북 간 협의 내용을 ‘시설철거’ 문제로 제한하고 있는 상황이라 일단 남측의 현장 조사 필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북한 측의 호응을 유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당국과 사업자 등이 포함된 공동점검단의 방북이 성사되면 자연스럽게 금강산 문제 전반을 논의할 수 있는 대화 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북 이유로 ‘시설점검’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결국 이번 통지문 역시 지난달 28일 전달된 1차 통지문과 마찬가지로 금강산관광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서는 남북당국 간 ‘대면접촉’이 필요하다는 점에 무게를 둔 셈이다.
다만 북한이 남북 당국 간의 공식 실무회담 등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1차 통지문 발송 때와 달리 ‘실무회담’은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2차 대북통지문을 보낸 지 만 하루가 지난 이날 오전까지 북한의 반응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5일 남측 시설물 철거를 요구하는 통지문을 보냈고, 이에 대해 정부는 28일 금강산 실무회담을 역제안하는 통지문을 발송했다. 북한은 바로 다음 날 이 제안을 거부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지난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금강산 시설 철거 통보와 관련, “자력으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대외적으로는 금강산 관광 재개를 촉구하는 의도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