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31일 북한의 연이은 단거리탄도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미국 등 동맹국과 함께 대응하겠다는 입장은 밝히면서도 한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연대 대상에서 또 한국을 제외한 것이다.
아베 총리는 총리관저에서 “(이번 도발이) 일본의 안전보장에 영향을 주는 사태는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미국 등’과 긴밀히 연대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25일 북한의 단거리탄도미사일 발사 당시에도 “앞으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비슷한 언급을 했다. 지난 5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때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 뒤 “미국과 완전히 일치해 북한에 대응하기로 했다”면서도 연대 대상에서 한국은 배제했다.
아베 총리가 연이어 연대의 대상으로 한국을 언급하지 않은 배경에는 북한 문제 등 동맹국 차원의 공동 현안에서 노골적으로 한국을 패싱(배제)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내각 주요 인사들은 이날 한국과의 연대를 거론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번 건에 대해 미국 및 한국과도 긴밀히 연대해왔다”며 “계속해서 정보수집 분석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스가 장관과 이야와 다케시 방위상 등 각료들은 엿새전 북한의 도발 당시에도 “미국·한국과 연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일본 방위성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소식이 알려진 후 이른 아침부터 간부회의를 열어 발사체의 종류와 개수, 비거리 등에 대한 정보 수집 작업을 진행했다. 총리관저의 북한 정보 대책실 등도 정보 수집 작업에 착수했다. 이야와 방위상은 “탄도미사일이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북한이 유엔 결의를 위반하는 미사일 발사를 계속하는 것은 대단히 유감이다”라고 말했다.
NHK는 북한의 이번 도발에는 다음달 2일 개최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앞두고 미국을 흔들려는 의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음달 실시 예정인 한미합동군사훈련에 대한 불만도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